광고닫기

워싱턴지역 사이버테러 경계령

Washington DC

2025.06.23 12:0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국토안보부 요원이 연방정부 건물 외곽 경계를 서고 있다.

국토안보부 요원이 연방정부 건물 외곽 경계를 서고 있다.

미군의 이란 핵시설 공격 이후 워싱턴 지역의 테러 가능성이 높아지자, 당국에서 경계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란이 보복을 공언한 가운데, 워싱턴DC 테러보안국 등은 특히 사이버 테러 등 이른바 ‘비대칭적 위협’을 경계하고 있다. 
 
당국에서는 워싱턴 지역의 극단주의자 그룹을 촘촘히 감시하고 있으며, 일부 단체에 대해서는 선제적인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 지역은 또한 유대교 회당과 이슬람 모스크, 외국 대사관, 내셔널 몰, 듀폰 서클, 각종 연방정부 건물 등에 대해 경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워싱턴DC 당국은 긴급 상황이나 즉각적인 위협이 있을 경우 911로 전화하고, 의심스러운 활동을 신고하려면 실시간 범죄 센터로 전화(202-727-9099)로 문자메시지(50411), 온라인(iwatch.dc.gov) 등으로 신고해줄 것을 당부했다.  
 
연방 국토안보부는 이란의 보복 위협에 따라 본토 테러 위협이 고조되고 있다고 공식 경고했다. 국토안보부는 성명을 통해 이란과 연계된 해커 조직의 사이버 공격 가능성과 함께, 미국 내 특정 인물이나 시설을 목표로 한 물리적 테러 가능성을 동시에 제기했다. 이란 지도부의 종교적 선언이 자생적 극단주의자들을 자극해 '외로운 늑대'형 테러를 촉발할 수 있다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거론됐다.
 
한 전문가는 “이란의 보복은 전통적인 군사적 대응을 넘어, 추적이 어렵고 미국 사회에 직접적인 공포를 심어줄 수 있는 비대칭 전력, 즉 사이버 공격이나 소규모 테러를 활용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고 분석했다. 이는 최소 비용으로 최대의 정치적 효과를 노리는 전략이다. 이에 따라 2001년 9.11 테러의 중심지였던 뉴욕은 즉각 최고 수준의 경계 태세에 들어갔다. 캐시 호컬 뉴욕 주지사는 “모든 주정부 기관과 핵심 인프라 시설에 고도의 경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시했다"며 "교통청과 항만청은 대테러 보호 조치를 가동했다”고 밝혔다.
 
현재 구체적이거나 신뢰할 만한 위협 정보는 없는 상태지만, 뉴욕 경찰은 유대인 종교 및 문화 시설, 각국 외교 공관 등에 대한 보안을 대폭 강화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또다른 전문가는 “구체적 위협 정보가 없다는 것이 안심할 신호가 아니라, 오히려 공격 준비가 극도의 은밀함 속에서 이뤄지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경고했다. 미국의 군사적 행동이 이제 미국 본토의 안보 문제로 직결되면서, 이란의 보복이 과연 어떤 형태와 규모로 나타날지 다각적인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