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난민기구 니제르 부대표 인터뷰…"사하라 사막의 아가데즈 지역, 난민과 주민 생존 위협"
"기후변화 따른 자연재해로 두세차례 실향도…미국 원조 보류 속 한국 등 지속 지원 요청"
[아프리카 기후난민] (19)"니제르 북부 난민 54도 폭염과 사투"
유엔난민기구 니제르 부대표 인터뷰…"사하라 사막의 아가데즈 지역, 난민과 주민 생존 위협"
"기후변화 따른 자연재해로 두세차례 실향도…미국 원조 보류 속 한국 등 지속 지원 요청"
(니아메
<니제르>
=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니제르에는 사막 등 척박한 지대가 많고 기후변화로 홍수와 가뭄과 같은 사태가 극심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파트리스 은고르 디오(49) 유엔난민기구(UNHCR) 니제르 부대표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니제르 수도에 있는 유엔난민기구 사무실에서 연합뉴스와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말하며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세네갈 출신인 그는 약 15년 동안 유엔난민기구에서 활동하면서 에티오피아, 수단, 카메룬, 말리,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다양한 아프리카 국가에서 인도적 임무를 수행해왔다.
디오 부대표는 "니제르는 1979년부터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대책을 시행했지만, 아직 큰 변화를 만들지 못했다"면서 "니제르의 무더위는 기후변화의 여실한 증거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난민을 비롯한 강제 실향민과 지역사회 주민들은 점점 더 어려운 상황에 봉착했다고 덧붙였다.
니제르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무더위의 피해가 심한 지역은 남부 마라디, 디파, 타후아와 북부 아가데즈이다.
디오 부대표는 "기후변화로 폭염이 더 심해져 아가데즈는 가장 더울 때 기온이 53∼54도까지 올라간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난민을 비롯한 강제 실향민과 지역사회 주민들은 하루하루 살아남기 위한 사투를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니제르 수도 니아메에서 북동쪽으로 약 740㎞ 떨어진 아가데즈는 사하라 사막에 위치한다.
니제르에서 강제 실향민은 난민 및 난민 신청자 43만2천명, 국내 실향민 50만7천명 등 98만6천명이나 된다.
이들은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로 2차, 3차 실향으로 내몰리기도 한다고 디오 부대표는 설명했다.
가뭄뿐 아니라 수해 문제도 심각하다.
디오 부대표는 "지난해 대규모 홍수가 발생해 약 150만명이 피해를 봤는데 올해는 피해 규모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최빈국 중 하나로 꼽히는 니제르는 식량 부족이 심각하다.
유엔난민기구는 니제르에서 약 280만 명이 식량안보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니제르 인구 10명 중 한 명꼴이다.
유엔난민기구는 다른 유엔기구와 협력해 단순히 식량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지속 가능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한다.
니제르는 고질적 식량난과 기후변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국제사회의 지원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올해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해외원조 보류는 니제르 인도주의 사업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디오 부대표는 미국의 원조 보류와 관련해 "전 세계적으로 유엔난민기구의 활동이 전반적으로 영향을 받았다"며 특히 니제르에서 난민을 위한 교육, 보건 등 사업에 차질이 생겼다고 전했다.
이어 "지금 굉장히 어려운 시기인데 유엔난민기구는 대한민국 정부 등 공여국들에 지속적인 지원을 해 달라고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유엔난민기구는 니제르 내 난민의 40% 이상이 식량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판단한다.
디오 부대표는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KOICA)이 니제르에서 진행 중인 인도주의 사업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대한민국 정부가 유엔난민기구를 통해 한국의 비정부기구(NGO) 굿네이버스와 협력해 강제 실향민과 지역사회 주민, 니제르 정부 등 모두를 만족시키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에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프로젝트는 단순히 인도적 지원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강제 실향민들이 비전을 갖게 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코이카는 분쟁 취약국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니제르에서 '강제 실향민 및 지역사회 주민의 사회 통합과 지속 가능한 생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3개년 프로젝트는 2026년까지 이어지며 유엔난민기구는 굿네이버스와 함께 직업훈련·취창업 프로그램 및 평화교육을, 캐나다 NGO와 함께 공동농장 사업을 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노재현
저작권자(c)>
니제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