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미군 사령관 "수년 걸쳐 통합군사령부로 전환…권한 확대"
아사히 기고서 주일미군 임무 조정 언급…주한미군 유연성 확대 가능성 맞물려 주목
(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스티븐 조스트 주일미군 사령관(공군 중장)이 주일미군 사령부가 앞으로 수년에 걸쳐 통합군사령부로 전환될 것이라며 "새로운 능력을 통합해 한층 더 분산적이고 회복력 있는 전력 태세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30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조스트 사령관은 최근 이 신문에 보낸 기고문에서 "미일 동맹은 변혁의 시대를 맞았고 자위대 통합작전사령부 설치와 주일미군 사령부의 진화가 그 상징"이라며 이처럼 말했다.
그러면서 "주일미군의 주요 임무를 종전 동맹 관리에서 인도적 지원과 재난 구호, 무력 분쟁에 이르기까지 모든 작전을 통합하는 사령부로 바꾸는 작업은 엄청난 일"이라고 전했다.
장차 주일미군의 임무를 확대 조정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그는 주일미군 내에 자위대 통합작전사령부와 연락 역할을 맡는 새 조직으로 '자위대통합작전사령부 협력팀'(JCT)을 설치했다며 JCT의 목적을 "위기나 예측 못 한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미일 대처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현재는 소규모 팀이지만 주일미군의 능력과 권한이 확대됨에 따라 규모도 확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는 조 바이든 정부 시절인 작년 7월 일본의 자위대 통합작전사령부 설치에 맞춰 주일미군을 개편, 인도·태평양군 사령관에게 있는 지휘권 일부를 주일미군에 주기로 합의하는 등 주일미군 체계 개편을 약속했다.
특히 미군과 자위대 간 지휘통제 연계 강화를 위해 창설하는 주일미군 통합군사령부가 일정한 지휘권을 갖고 자위대와 조정 역할을 맡기로 했다.
그러나 일본이 미국과의 약속을 지켜 신속한 지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자위대 통합작전사령부를 지난 3월 출범한 반면 미국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으로 정권이 바뀐 가운데 원래 약속을 지킬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실제 미국은 주일미군 통합군사령부 출범 후에도 요코스카에 본부가 있는 제7함대,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제3해병원정군, 요코타 기지에 있는 제5공군에 대한 지휘권을 인도태평양사령부에 그대로 둘 방침이라는 보도가 올해 3월 일본 언론에서 나오기도 했다.
다만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은 같은 달 방일 때 주일미군 통합군사령부 설립과 관련해 "제1단계를 개시했다는 것을 발표하고 싶다"며 "싸울 수 있는 사령부로 개편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같은 주일미군 임무 조정 분위기는 미국의 중국 견제가 한층 강화하는 상황에서 주한미군 관련 감축 등 유연성 확대 가능성과 맞물려 주목된다.
앞서 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5월 미 국방부가 주한미군 약 4천500명을 미국령 괌을 비롯해 인도·태평양 내 다른 지역으로 재배치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보도했고, 이후 국방부는 관련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경수현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