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틱톡 매수자를 찾았다"며 향후 2주 안에 매수 희망자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시작된 '틱톡 매각' 추진이 결국 트럼프에 의해 마무리될 가능성이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미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틱톡 (미국 사업 부문) 인수 의향이 있는 부유층이 있다"며 "2주 안에 (누구인지) 밝히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겠지만, 시진핑 주석이 승인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미·중 관세전쟁의 해빙 분위기를 고려해 기대감을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는 잠재적 인수자가 누구인지 언급하지 않았지만, 미 현지 언론은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 자산운용사 블랙스톤, 벤처캐피탈 안드레센 호로비츠 등이 참여한 미 투자자 컨소시엄을 틱톡 매각 유력 후보로 보고 있다. 오라클 창업자 래리 엘리슨 회장과 블랙스톤 공동 창업자 스티븐 슈워츠먼 회장은 '트럼프 지지자'이기도 하다.
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은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부터 미·중 패권 다툼의 상징적인 존재였다. '틱톡'의 모기업은 중국 바이트댄스로, 월간 전 세계 이용자 수는 15억 명이 넘는다.
트럼프는 지난 2020년 틱톡의 미국 사업 부문을 미 기업에 강제 매각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틱톡이 미 국민의 개인정보를 중국으로 유출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를 들었다.
당시 인수 협상이 난항을 겪으며 성사되지 않았으나 틱톡은 조 바이든 행정부 들어서도 매각될 상황에 처했다. 지난해 4월 미 연방의회가 초당적으로 '틱톡 금지법'을 통과시키고 바이든 당시 대통령이 해당 법안에 서명하면서다.
이 법은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 사업 부문을 올 1월 19일까지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에서 틱톡 서비스를 중단하도록 했다.
그럼에도 매각이 이뤄지지 않자 트럼프는 지난 1월 20일부터 6월까지 틱톡 매각 시한을 총 세 차례 연장했다. 현재 틱톡 매각은 시한은 오는 9월 17일까지다.
이처럼 트럼프가 시한을 여러 번 연장하면서 '틱톡 매각'에 공을 들이는 건 지난해 자신의 대선 승리 과정에서 틱톡이 젊은 층 유입에 크게 기여했다고 보기 때문이란 해석이다. 틱톡 서비스를 차단하는 대신 유지를 택했다는 것이다.
올초 틱톡 매각 협상은 성사 직전까지 갔었다. 그러나 지난 4월 트럼프가 대중국 '관세 폭탄'을 발표하자 중국 정부가 매각을 승인하지 않으면서 협상이 결렬됐다.
그러나 미·중이 90일간 상호관세 115% 포인트씩 인하와 중국 희토류의 대미 수출 재개에 합의하면서 틱톡 매각도 성사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