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일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시한과 관련해 “우리가 할 일은 모든 국가에 서한을 보내는 것”이라며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으면 각국의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통보할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 “서한은 무역 협상의 끝”이라고 했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관세 유예에 대한 계획’을 묻는 질문에 “훌륭한 사람들이 모든 국가와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그냥 서한을 보내는 게 낫다”며 이같이 말했다. 추가 유예 가능성에 대해서도 “필요하지 않을 것 같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에 부과할 구체적 관세율의 가이드라인도 직접 밝혔다. 그는 “(서한을 통해) ‘축하한다. 미국에서 살 수 있도록 허용하겠지만 25
%
, 35
%
, 50
%
또는 10
%
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할 것”이라며 “(협상을 위해) 만나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이미 장관급 협상을 여러 차례 진행한 일본에 대해서도 “서한을 보낼 수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한국과 일본에 대해서는 자동차 무역을 예로 들었다. 그는 일본이 미국산 자동차를 많이 수입하지 않지만 수백만 대의 일본산 자동차를 수출하고 있다며 “이는 불공평하다”고 했다. 이어 “나는 (협상에서) 큰 무역적자를 설명했고, 일본은 이를 이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일본과 한국이 미 자동차 업체보다 낮은 관세를 적용받는 협정이 체결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은 자동차에 대해 25
%
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미 상무부는 지난달 24일 관세가 부과되는 자동차 부품을 추가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했다. 미국 회사들이 관세 부과를 원하는 부품을 제시하면 수용 여부가 결정되는 구조다. 앞서 상무부는 미국 업체들의 요구로 50
%
의 철강 관세가 부과되는 품목에 한국 가전업체들의 주력 수출품인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등을 추가한 상태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정통한 미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이 대만,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일부 국가들과 무역협상 합의에 근접해 가고 있다”며 “한국, 베트남과의 합의도 가능할 수 있다”고 전했다. 최근 미국을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만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인공지능(AI), 반도체, 바이오 등 다양한 제조 분야에서 한·미가 상호 호혜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며 “이에 대해 미국 측으로부터 굉장히 적극적인 호응을 받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인터뷰에서 정책 집행에서 일부 예외를 두고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재임 시기 제정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보조금에 대해 “이런 사기에 돈을 주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면서도 “하지만 일부 프로젝트는 시작됐고,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면 중간에 있게 된다. 나는 그 점도 이해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