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미일 등, 동중국해·남중국해 단일 전역으로 운용 방침"
국방장관 "단일 전역 조정센터 12월 설립 예정…한반도는 제외돼야"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미국·일본·필리핀 등이 한반도를 제외한 동중국해·남중국해를 하나의 '전쟁 구역'(전역)으로 운용할 방침이라고 필리핀 정부가 밝혔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 마닐라스탠더드·마닐라불레틴 등 필리핀 매체에 따르면 길버트 테오도로 필리핀 국방부 장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육지 국경이 없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를 단일 전역으로 간주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테오도로 장관은 "이는 작전, 영역 인식, 정보 교환, 그리고 실시간 작전을 위한 상호 전력 강화에서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면서 다만 한반도는 이 전역에서 제외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통합작전사령부가 단일 전역 개념을 실제 운용하고 있다면서 미국·일본·호주·필리핀의 비공식적 안보 협의체 '스쿼드'(Squad)가 오는 12월 단일 전역을 시행하기 위한 조정 센터를 설립할 것이라고 전했다.
테오도로 장관은 "따라서 이는 이미 운영 중인 개념이다. 다른 합의는 필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육상·해상·항공자위대를 체계적으로 지휘할 통합작전사령부를 지난 3월 출범시켰다.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상은 또한 3월 말 미·일 국방장관 회담에서 중국을 염두에 두고 한반도와 동중국해·남중국해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을 하나의 전역으로 볼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카타니 방위상은 당시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 장관에게 "일본은 '원 시어터'(하나의 전역)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일본, 미국, 호주, 필리핀, 한국 등을 하나의 전역으로 인식해 협력을 심화해 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나카타니 방위상 제안에 환영의 뜻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당시 한국 정부는 "한반도가 일본의 전역 구상에 들어가는 것은 문제"라는 우려를 일본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대립하는 필리핀은 지난해 7월 양국 군인의 상대국 파병·합동 훈련 등을 원활하게 하는 상호접근협정(RAA·일본명 '원활화 협정')을 맺었다.
이어 올해 4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과 이시다 시게루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을 갖고 안보 관련 기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보호협정, 군수물자 상호 지원을 돕는 물품·역무 상호제공 협정(ACSA) 체결 협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필리핀은 또 같은 달 뉴질랜드와도 상호접근협정과 유사한 방문군 지위협정(Status of Visiting Forces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어 캐나다와도 방문군 지위협정 협상을 마치고 협정을 맺기로 했으며, 프랑스와도 같은 협정을 위해 초기 협상을 진행하는 등 미·일을 비롯한 서방 각국과 방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진형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