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업계 1위인 스타벅스가 플라스틱 빨대를 재도입 하기로 결정하면서 종이 빨대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스타벅스의 결정으로 업계 전반에 플라스틱 빨대 사용이 다시 확산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1일 스타벅스코리아에 따르면 전국 2017곳 매장 중 10% 가량인 200여개 매장에서 지난 25일부터 플라스틱 빨대를 다시 도입했다. 지난 2018년 전국 매장에 종이 빨대를 전면 도입한 지 7년 만이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환자나 영유아 등의 불편을 반영해 병원이나 주택 인근 매장 200여곳에 일단 시범 도입해 종이 빨대와 병행 제공한다”고 말했다. 스타벅스는 소비자 반응을 보고 향후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재도입한 빨대는 사탕수수 기반 소재로 만들어졌다. 탄소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수거해 재활용하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는 게 스타벅스의 설명이다.
종이 빨대는 2021년 환경부가 식당·카페 등에서 종이컵과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제한하는 내용의 자원재활용법 시행규칙을 개정·공포하면서 업계 전반에 도입됐다. 다만 자영업자 부담과 소비자 불편 등을 고려해 정부가 계도기간을 뒀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 2023년 11월 제도 시행을 앞두고 돌연 계도 기간을 무기한 연장했다.
현장에서는 “무기한 유예 탓에 기준이 명확지 않아 혼란이 잇따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여전히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아직 결정된 건 없다”라고 말했다. 전국 종이 빨대 업체들로 구성된 종이 빨대 생존 대책 협의회의 최광현 공동대표는 “20여개 제조 업체가 있었는데 5, 6곳만 현재 명맥을 겨우 유지하는 중”이라며 “주무부처의 무책임한 정책에 업체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