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박소영 기자] 법정 히어로는 없다. 정의 구현보다 출근과 야근, 월급이 우선이다. tvN 새 토일드라마 ‘서초동’이 사명감보단 생계를 우선시하는 진짜 ‘월급쟁이 변호사’들의 리얼한 일상을 그린다.
오는 5일 첫 방송을 앞둔 ‘서초동’(극본 이승현, 연출 박승우)은 매일 서초동 법조타운으로 출근하는 어쏘 변호사(법무법인에 고용되어 월급을 받는 변호사) 5인방의 희로애락 성장기를 담은 드라마다. 법정이라는 특수한 공간을 배경으로 하지만, 이들의 고민은 죽고 사는 게 아닌 먹고 사는 것으로 누구보다 보편적이다.
1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더 링크호텔에서 열린 tvN 새 토일드라마 ‘서초동’ 제작발표회에서 박승우 PD는 “직장인처럼 고용돼 일하는 어쏘 변호사들이 꿈과 일상을 영위해 가는 따뜻한 드라마”라고 작품을 소개했다. 기존의 여러 법정드라마와 다른 일상물 느낌이 더 크다는 것.
이종석은 9년 차 어쏘 변호사 안주형 역으로 오랜만에 안방극장에 복귀한다. 그는 “보통의 법정물은 정의를 구현하는 이야기가 많은데, ‘서초동’은 먹고 사는 이야기를 다룬다. 편하게 볼 수 있는 일상물은 처음이어서 흥미로웠다”고 말했다. 이어 “강유석 배우가 있어서 현장에 즐겁게 임할 수 있었다. 이 드라마는 배우들이 가장 큰 강점”이라고 애정을 드러냈다.
[사진]OSEN DB.
문가영은 공감형 변호사 강희지 역을 맡았다. 그는 “직업이 있는 역할은 처음이라 설렘이 컸다. 대사량도 많고 공부할 것도 많았지만 만족감도 컸다”며 “드라마 작가님이 실제 변호사이기 때문에 궁금한 점을 바로 물어볼 수 있었다. 다섯 캐릭터의 태도와 성장 방식이 다 달라서 다채롭다”고 전했다.
강유석은 “이번에는 전문직 연기를 또 하게 됐는데, 제가 건실해 보이는가 보다”라며 웃었다. 이어 “‘서초동’은 법정물이라고 해서 딱딱하거나 극적이지 않다. 일상의 내추럴한 모습을 보여주는 드라마다. 제가 가진 기세는 1% 정도고, 나머지 99%는 훌륭한 감독님과 배우들의 몫”이라고 말해 훈훈함을 더했다.
‘로스쿨’에 이어 또다시 법조계 인물로 돌아온 류혜영은 “전에는 미래의 법조인이었고 이번엔 진짜 변호사가 됐다”며 “함께 촬영한 시간이 즐거웠고, 다시 법조인 역할을 맡게 돼 영광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임성재는 현실적인 자본주의 변호사 하상기 역으로 감초 역할을 맡는다. 그는 “그동안 연기한 인물들은 주로 직업이 없었는데 이번엔 직업이 생겼다. 변호사라니 너무 기뻤다”며 “대본이 훌훌 넘어가고 재미있어서 욕심이 났다. 편안함이 우리 드라마의 수식어다”라고 설명했다.
[사진]OSEN DB.
‘서초동’은 사명감과 정의보다 각자의 삶에 충실한 월급쟁이 변호사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극적이고 화려한 법정물과 달리, 현실 속 희로애락과 유쾌한 서초동 라이프를 녹여낼 예정이다. 무엇보다 현직 변호사 출신 작가가 대본을 썼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덕분에 자연스럽게 지난해 화제를 모았던 SBS '굿파트너'가 떠오른다. 이 작품 역시 현직에 있는 이혼 전문 변호사 최유나가 대본을 직접 써 현실적인 사건 구성과 생생한 디테일로 호평을 받은 바 있다.
다만 ‘굿파트너’는 사건 중심의 서사로 감정의 골과 갈등 구조가 선명한 ‘웰메이드 장르극’에 가까웠다. 매 회 법정 공방신이 주요 사건을 이끌며 극적 긴장감과 몰입도를 끌어올렸다. 시청자 입장에서도 ‘정의 실현’과 ‘감정적 대리만족’이 중요한 키포인트였다.
반면 ‘서초동’은 법조계 일상물이라는 독특한 장르를 표방한다. 사건보다 캐릭터의 내면과 관계 변화에 중심을 두며, 유쾌하고 편안한 시선으로 변호사들의 하루를 풀어낼 예정이다. 배우들 역시 제작발표회에서 “‘서초동’은 먹고 사는 이야기”, “편하게 볼 수 있는 드라마”, “현실과 가까운 이야기”라고 입을 모았던 바. 특히 이종석은 “도파민을 찾는 요즘 시대에 편안하게 볼 수 있는 드라마"라고 자신했다.
‘서초동’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된 '굿파트너'와 어떤 비교 평가를 받게 될지 오는 5일 오후 9시 20분 첫 방송이 베일을 벗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