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도쿄 개관 후 '강제노역' 설명 없어…오는 5일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10년
'전체 역사' 알리겠다던 日, 2년 전엔 '식민지배 합법' 추가
[르포] 5년간 개선없는 日산업유산정보센터…"군함도에 강제 없어" 억지
2020년 도쿄 개관 후 '강제노역' 설명 없어…오는 5일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10년
'전체 역사' 알리겠다던 日, 2년 전엔 '식민지배 합법' 추가
(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2023년에 전시물이 일부 바뀌고 그 뒤에 새로 추가된 전시물은 없어요."
지난달 26일 오전 도쿄 일본 총무성 제2청사 별관 산업유산정보센터에서 나이 지긋한 한 안내원이 기자의 질문에 이처럼 답했다.
기자는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군함도' 등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지 10년이 되는 오는 5일을 앞두고 이곳을 찾았다.
센터는 일본 정부가 나가사키 하시마(일명 군함도) 탄광 등 23개 산업시설을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으로 세계유산에 등재하면서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한 데 따라 마련된 시설이다.
당시 일본 정부 대표는 세계 유산위원회 회의에서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노역 당했다"며 사실상 강제성을 인정했다.
그러나 2020년 3월 개관한 이 시설에는 군함도에 끌려간 조선인 노동자의 '강제노역'에 대한 설명이 없어 한국 정부로부터 꾸준히 문제 제기가 이뤄져 왔다.
메이지 시대(1868∼1912) 산업화를 이룬 영광의 역사만 부각했다.
실제 크게 3개 구역으로 나눠진 전시 공간 중 군함도를 집중적으로 다룬 3구역에 걸린 군함도 출신 증언자의 패널을 보면 "(사택 입주 권리는) 일본인도 조선인도 평등했다"(마쓰모토 사카에 전 하시마 도민 대표, 1928년생), "주위 분들은 모두 좋은 사람들이고 나쁜 이미지는 없다"(재일 교포 2세 스즈키 후미오. 1933∼2019년) 등 좋은 이야기뿐이다.
강제로 일을 해야 했다거나 차별받았다는 이야기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었다.
증언자 패널은 개관 직후부터 전시돼온 것들이다.
결국 세계유산위원회는 이듬해 산업유산정보센터에 대한 실사 보고서에서 1910년 이후 전체 역사에 대한 일본의 해석이 불충분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일본은 2022년 유네스코 사무국에 낸 보존현황 보고서에서 "하시마 탄광의 노동은 모든 광부에게 가혹했다"며 "한반도 출신에게 더욱 가혹했다는 신뢰할 만한 증거는 지금까지 없다"고 강변했다.
또 "한반도에서 징용된 노동자들은 봉급을 받는 등 일본 출신과 동일한 환경에서 일했고 노예 같은 노동을 강제 받지 않았다"며 "사실관계 오류와 오해를 예방하기 위해 역사적 조사에 근거해 전시 내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더니 2023년 일부 전시물울 추가했다.
하지만 새로운 전시물도 역시 강제노역이나 차별을 부정하는 내용이었다.
대표적으로 군함도 관련 자료실이기도 한 3구역 진입구 옆에 추가 설치한 터치식 스크린은 강제 노역이 아니라 합법적 징용이라는 자신들 주장에 초점을 맞췄다.
첫 화면은 한국병합,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배상 및 전후처리 등 메뉴로 구성됐다.
'한국병합'을 누르니 "1910년 조약에 의해 대한제국을 정식 병합했다. 2001년 개최된 '한국병합 재검토 국제회의'에서 서구 법학자들은 당시 병합조약은 국제법 관행에 비춰 무효였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견해가 제시됐다"는 설명이 나왔다.
합법적 병합인 만큼 징용령에 의한 강제 노역도 합법이라는 주장을 편 셈이다.
당시 전시물 개편 때 동영상 아카이브도 일부 추가됐다고 해서 자료실 내 컴퓨터로 추가된 영상도 확인해봤다.
조선인 출신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이귀남(일본명 이와모토 지요, 1928년생)씨는 "군함도의 생활이 그립다"며 "탄광이 가져다준 풍요로운 생활"이라고 기억했다.
동영상을 몇편 보다 보니 예약 시간이 거의 다 돼갔다.
센터는 개관 이후 예약제를 채택해 현재는 하루 40명만 관람객을 받고 있고 사진 촬영도 금지할 정도로 폐쇄적인 운영방식을 이어왔다.
가방을 싸서 나가려 하는데 안내원이 먼저 다가오더니 팸플릿을 들이밀었다. 입구에서 팸플릿은 여러 개 받았다고 하니 군함도에 대한 팸플릿이라며 한번 읽어보라고 권한다.
표지에는 "누가 역사를 날조하고 있는 것인가. 군함도는 지옥 섬이 아닙니다"라는 보조 제목이 박혀있었다.
과거 군함도의 비참한 조선인 모습으로 알려진 사진 등은 장소가 다르거나 일본인이었다며 조선인 강제노역은 거짓이라는 억지 주장을 담은 팸플릿이었다.
군함도의 강제노역은 이 센터에서는 한낱 중상모략으로 치부될 뿐이었다. 이역만리 섬에서 도망도 못 가고 강제로 노동해야 했던 피해자들에게는 너무나 억울한 이야기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경수현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