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트럼프 관세협상 연일 압박 발언에 속타는 日…"상황 더 엄중"
즉각적 반응은 삼가…참의원 선거 앞두고 돌파구 마련에 부담
(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협상에 적극 임해온 일본을 상대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약 일주일 앞두고 연일 압박성 발언을 내놓는 가운데 일본은 즉각적 반응을 삼가고 있어 주목된다.
일본 정부 부대변인인 아오키 가즈히코 관방 부장관은 2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을 상대로 관세협상에 대한 불만을 말한 데 대해 "미국 당국자의 발언에 대해 하나하나 코멘트하는 것은 삼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일 간에는 진지하고 성실한 협상이 계속되는 중"이라며 "양국에 이익이 되는 합의를 실현하기 위해 협상을 정력적으로 계속해갈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에서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일본에 대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말한 데 대해 사실상 논평을 피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용기에서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할지에 대해 질문받자 "아니다. 나는 그것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며 "나는 많은 나라들에 (상호관세율 등을 적시한)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일본에 대해 "우리는 일본을 상대해 왔는데, 나는 합의를 할지 확신을 못 하겠다. 일본과는 합의할지 의문시된다"고 밝힌 뒤 "그들은 매우 터프(tough·협상에서 완고함을 의미)하다"며 "그들은 매우 잘못 길들여졌다(spoiled)"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에 보낼 서한 내용에 대해 "당신은 (대미 관세로) 30%나 35% 또는 우리가 결정하는 어떤 수치를 지불하게 될 것"이라며 "왜냐하면 우리는 일본에 대해 매우 큰 무역 적자를 보고 있기 때문"이라고도 했다.
7차에 걸친 장관급 미일 관세협상이 좀처럼 진척을 보지 못한 상황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에도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나는 일본을 매우 존중한다. 하지만 그들은 대량의 쌀 부족을 겪고 있는데도, 우리의 쌀을 수입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일본을 저격했다
결국 일본 정부는 협상에서 가장 중시하는 자동차 관세와 민감품목인 쌀 문제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저격하면서 속이 타는 처지에 몰리게 됐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협상 상황을 보고받은 것으로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불만을 나타내며 상황은 한층 더 엄중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요미우리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애초 일본은 미국과 양자 협상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왔다.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지난달 16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캐나다에서 대면한 양국 정상 회담이 큰 틀의 합의가 성사될 일정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정상회담은 특별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그 뒤 워싱턴DC에서 열린 7차 장관급 협상에서는 일본 측 협상 담당 각료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협상 진척을 위해 체류 일정까지 연장했지만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을 만나지조차 못했다.
일본이 오는 20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미일 관세협상이 당분간 돌파구를 찾기는 어려워 보인다.
일본이 관세협상에서 가장 중시하는 자동차 관세를 놓고 미국도 좀처럼 유연한 자세를 보이지 않는 데다 쌀 같은 민감 품목을 협상 카드로 쓰기에는 정치적으로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닛케이는 "7차 협상 후 미국에 남아 조율 작업을 계속하던 실무급 당국자들도 귀국한 것 같다"고 전했다.
일본은 그동안 액화천연가스(LNG)와 옥수수를 비롯한 미국 상품 수입 확대, 미국산 반도체 수조원어치 구매, 경제안보 분야 협력 등을 협상 카드로 제시하며 타결을 모색했다.
특히 대미 수출에서 3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자동차 관세 재조정을 협상의 핵심 사안이라고 강조해왔다.
하지만 미국은 협상 초기부터 상호관세에서 일률적으로 부과한 10%에 더해 국가별로 차등해 추가 적용하는 관세(일본은 14%)만 협의가 가능하고, 자동차·철강·알루미늄 관세 등 품목별 관세 조정에 대해서는 난색을 보여온 것으로 알려졌다.(취재보조:김지수 통신원)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경수현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