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가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기로 약속한 방공미사일과 탄약의 선적을 중단했다. 미국의 자체 무기 비축량이 너무 줄었다는 명목상 이유를 대면서다.
백악관은 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중단을 발표하며 “다른 나라에 대한 군사 지원 등을 검토한 결과, 미국의 국익을 최우선한 결정을 내렸다”고 했다. 선적이 중단된 무기는 패트리어트 방공 미사일, 155mm 포탄, 유도 다연장 로켓 시스템, 스팅어 미사일, AIM-7 미사일, 헬파이어 미사일 등이다.
지원 중단된 무기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 때 우크라이나에 약속한 무기들이다. 미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미 국방부에서 포탄, 방공미사일, 정밀 탄약의 총비축량이 줄어들었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미 행정부 당국자들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 중단 배경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중동 전쟁에 대응하고, 장기적으로는 중국의 위협에 대비해야하기 때문”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강조했다고 한다.
지원 중단 결정 역시 엘브리지 콜비 미 국방부 정책차관이 주도했다고 한다. 콜비 차관은 중국 압박을 최우선해야하고, 이런 맥락에서 미국이 가진 자원을 중국 견제에 투입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지원을 줄일 필요가 있다는 지론을 평소 밝힌 인물이다. 또 한국의 독자 핵무장을 주장하는 현실주의자이기도 하다.
트럼프 행정부는 교착 상황에 빠진 우크라이나 전선에 러시아를 묶어두는 한편, 러시아를 주요 8개국(G8)에 복귀시켜 정상국가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확보한 미국의 전략 자산을 중국 견제에 집중 투입하겠다는 구상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역시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원래 G8이었던 러시아를 제외한 것은 매우 큰 실수”라고 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여름 대공세에 들어간 이후 전선 유지에 버거워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열화상 카메라를 장착한 러시아 드론이 많아지면서 우크라이나 장병들이 진지 사이를 이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
푸틴·마크롱 3년만에 정상통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전화통화했다. 두 나라 정상의 통화는 2022년 9월 11일 이후 처음이다. 프랑스가 우크라이나 지지로 입장을 굳히면서 러시아와 정상간 대화를 그만뒀기 때문이다.
이번 통화에서 마크롱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주권과 영토에 대한 흔들림 없는 지지를 재차 표명했고, 푸틴 대통령은 새로운 현실 영토에 기반한 평화협정을 강조했다고 양측 정부는 각각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