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상원은 자국 내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는 데 대한 세액공제를 기존 25%에서 35%로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된 감세법안을 통과시켰다. 2022년 제정된 칩스법은 2022년 말 이후 가동을 시작했거나 2026년 말 이전 착공한 미국 내 기업을 대상으로 시설·장비 투자에 대해 25% 세액공제를 제공하는데, 이 비율이 확대됐다. 과거 칩스법 초안에서 제시된 수치(30%)를 웃돈다. 법안은 하원에서 다시 표결을 거쳐야 한다. 하원은 이르면 4일까지 법안을 통과시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서명을 요청할 방침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해외 반도체 기업을 지원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거듭 밝혀왔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법안 폐지를 주장했지만, 양당 의원들은 자신의 지역구에 고소득 일자리를 제공하는 반도체 기업에 대한 보조금을 없애려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트럼프 정부 역시 결국 미국 본토에 더 많은 반도체 공장을 지어야 한다는 목표 하에 한발 물러선 것으로 해석된다.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기업으로는 반도체법 인센티브(보조금) 수혜 대상인 TSMC·인텔· 마이크론·삼성전자 등이 거론된다. 삼성전자는 2021년 텍사스주 테일러에 제2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으며, 내년 가동이 목표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피엣에 첨단 패키징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한 이후 착공을 준비 중이다. 세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내년 말 전에 착공을 시작해야 한다.
이번 세액공제는 개별 기업 상한선이 없다. 미 의회예산처는 이번 세액공제로 인해 향후 10년간 예산 150억달러(약 20조 4000억원)가 들 것으로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