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트럼프 상호관세 발효도 전에…차·철강 벌써

중앙일보

2025.07.02 08:01 2025.07.02 13:33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울상 된 수출기업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유예시한(현지시간 기준 7월 8일) 만료를 앞두고 자동차·철강·가전업계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은 현재 완성차 및 부품(25 % ), 철강 및 가전제품(50 % )에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그에 따른 수출 감소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어서다.

2일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완성차(HS코드8703)의 올해 5월 대미 수출액은 25억1205만 달러(약 3조4000억원)로 지난해 5월 34억4902만 달러(약 4조7000억원)보다 27.2 % 줄었다. 지난해 수출액 기준 대미 수출품목 1위(424억 달러)인 완성차의 수출감소가 두드러진 것이다. 같은 기간 자동차 부품(HS코드 8708) 수출액도 5억3582만→5억1742만 달러로 3.4 % 감소했다. 미국은 완성차는 4월 3일(현지시간), 자동차 부품은 5월 3일부터 관세를 부과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현대차·기아 미국 판매량도 5월 17만251대에서 6월 14만374대로 17.5 % 감소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무관세로 통관된 재고를 집중적으로 판매해 4~5월 현지 판매량을 끌어올렸지만, 재고가 소진된 6월부터는 판매량이 줄었다”고 진단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내 가격 동결시한(7월 8일) 이후 가격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큰데, 이러면 판매량은 더 줄 수 있다.

3월 12일(현지시간)부터 25 % 의 관세를 적용받던 철강·알루미늄은 6월 4일부터는 50 % 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5월 철강(HS코드 72) 대미수출액은 1억7954만 달러로 전년 동월보다 15.9 % 감소했는데 6월 수출액은 더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한국산이 미국산보다 20~30 % 저렴하기 때문에 관세율 25 % 에도 국내 업체는 버틸만했다”며 “하지만 관세율 50 % 는 수출할수록 손해를 볼 수 있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철강 수출 중 미국 비중은 13.1 % 였다. 손영욱 철강산업연구원 대표는 “국내 기업의 열연·냉연·후판 등 판재류 수출은 미국 의존도가 높지 않지만, 에너지용 강관의 수출 의존도는 높은 편이어서 이를 주로 수출하는 기업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6월 23일(현지시간)부터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산 냉장고·건조기·세탁기 등 주요가전 제품에도 철강함량 기준으로 최대 50 % 관세가 부과하면서 가전업계도 피해를 보고 있다. 가전업계 관계자는 “가전업 자체가 이익률이 낮은 산업이라 수익 감소를 피할 수 없다. 가격인상이 불기파하다”고 내다봤다.

가전업체들의 영업이익 전망도 어둡다. 유진투자증권은 2분기 삼성전자에서 가전을 담당하는 CE사업부 영업이익률을 0 % 라고 전망했다. NH투자증권은 LG전자 역시 가전 담당 HS부문 영업이익률이 1분기 9.6 % 에서 2분기 6.3 % 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장상식 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정부가 적극적인 협상으로 관세율 인하, 최대한 많은 쿼터물량 확보에 나서야 기업도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9일부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예정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면 기계류, 전기·전자제품 등 품목에서 수출 경합도에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 일본(24 % ), 독일(20 % ) 등 한국(25 % )보다 상호관세율이 낮게 예고된 국가들은 기계류에서 한국보다 가격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보다 상호관세율이 높은 중국(54 % )·베트남(46 % )·대만(32 % )·인도(26 % ) 등과의 경쟁에선 한국이 유리할 수 있다.





김효성.오삼권.박해리([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