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오는 9월 이른바 전승절(戰勝節) 행사에 이재명 대통령을 초청한 데 대해 대통령실이 “한·중 간 관련 사안에 대해 소통 중”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최근 외교 채널 등을 통해 이 대통령의 참석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전하고 있는데(중앙일보 7월 2일자 1·2면), 주한 중국대사관은 벌써 “한국 측의 참석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대통령실은 2일 “이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식 참석 여부는 한·중 간 관련 사안에 대해 소통 중”이라며 “다만 외교 채널에서 이뤄지는 구체적 내용을 밝히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또 “한·중 양국은 APEC 정상회의를 매개로 양국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자는 공감을 토대로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이 중국의 초청 사실을 공식적으로 확인한 셈인데, 정부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전승절 참석 전례와 대미·대중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검토에 들어갔다. 2015년 박 전 대통령은 북핵 문제에서 중국의 역할을 기대하며 자유주의 진영 국가 정상으로는 유일하게 70주년 전승절 행사에 참석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중국의 협력을 충분히 끌어내지 못한 채 한·미 동맹에 긴장을 초래했다는 평가도 받았다. 지금은 미·중 간 전략 경쟁이 한층 심해지는 등 정부로서는 선택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기대감부터 표명하며 앞서 나갔다. 대사관은 이날 중앙일보에 박 전 대통령이 천안문 망루에 섰던 사례를 언급하며 “70주년 당시 한국 지도자가 초청에 따라 (전승절 행사에) 참석해 좋은 효과를 거뒀다”며 “중국 측은 이번 행사에 한국 측의 참석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한국 정상이 직접 참석하는 걸 원한다고 명확히 한 셈이다.
이와 관련, 호준석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이 대통령이 참석한다면 대한민국의 국익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외교 참사”라고 주장했다. 한동훈 전 대표도 페이스북을 통해 “중국 전승절 불참이 국익에 맞다”며 “보수와 진보의 문제가 아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