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온라인쇼핑·SNS이력으로 대출받는다? 'AI신용평가' 가능하려면

중앙일보

2025.07.02 23:23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3일 서울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회관에서 한국평가데이터(KODATA)·핀테크산업협회가 공동으로 '인공지능(AI) 기반 신용평가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고석현 기자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확산하는 가운데, 금융·투자 분야에 AI 기반 신용평가가 자리 잡으려면 개인정보 침해, 알고리즘 편향성 등을 해소해야 한다는 업계의 제언이 나왔다. 3일 한국평가데이터(KODATA)와 한국핀테크산업협회 주최로 서울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회관에서 열린 ‘AI를 활용한 신용평가 공동포럼’에서다.

과거 개인이나 기업의 신용평가는 주로 금융거래 이력이나 신용카드 사용, 연체 정보 등 정형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뤄져 왔다. 하지만 최근엔 금융거래 이력 정보가 부족해도 소비패턴이나 경력, 소셜미디어 활동, 온라인 쇼핑 패턴 등 비정형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신용등급을 부여하는 ‘대안신용평가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홍두선 한국평가데이터 대표는 “AI로 신용평가를 정교화해 평가 사각지대가 해소되고, 비재무 정보의 활용으로 기업의 리스크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게 됐다”면서 “다만 개인정보보호, 데이터편향, 법·제도 미비 등은 해소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AI활용 신용평가의 발전방향’을 발제한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KIF) 박사는 “현재 세계적으로 AI기반기업 신용평가 관련 정책은 미비한 상황”이라며 “기업 신용평가가 사회적으로 원만하게 수용되기 위해서는 AI 특성에 맞춰 유연한 규제체계를 갖춰야 하고, 기업·소비자 권리 보장을 위한 기술을 표준화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유신 AI디지털금융포럼 의장은 ‘AI를 활용한 대안평가 현황 및 과제’ 발표에서 “국내에서는 신용정보·전자금융 등 관련 법규가 분산돼 있다”며 “비금융정보 기반의 대안 신용평가를 포괄하는 대안 신용평가 전용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선 KODATA·피에프씨테크놀로지스(PFCT)·크레파스솔루션·고위드 등의 AI를 활용한 대안 신용평가 사례가 소개됐다.



고석현([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