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탄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이란에서 스위스 외교관 등 4명이 의문사했다고 이스라엘 일간 예루살렘포스트가 2일(현지시간) 스위스 공영 SRF, RTS 방송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의문사는 2021년부터 올해까지 잇따라 발생했다.
2021년 5월 스위스 외교관 실비 브루너가 자신의 주거지인 이란 수도 테헤란의 17층 아파트 발코니에서 바닥으로 추락해 사망했다.
스위스 당국이 송환된 브루너의 시신을 부검했지만 주요 장기 몇 개가 적출된 상태여서 음독 여부를 검사할 수 없었다고 한다. 당시 부검 보고서엔 자살 가능성과 함께 한두명이 사망 과정에 개입했을 가능성도 언급됐다. 스위스 검찰은 이 사망사건 수사를 증거 부족으로 종결했다.
이와 관련해 이란 이슬람혁명수비대(IRGC) 전직 장교라는 한 남성은 브루너를 감시하는 IRGC 작전이 실패한 뒤 브루너가 발코니에서 밀려났다고 주장했다.
2023년 6월에는 스위스 무관(외교관으로 파견된 군인)이 테헤란의 한 호텔에서 돌연 쓰러졌다. 이 무관은 스위스로 귀국하고 몇개월 뒤 숨졌다. 이란 관리들은 자연사라고 주장했으나 SRF는 그가 민감한 업무를 수행 중이었다고 보도했다.
같은 해 9월 스위스 대사관에 소속된 현지 직원이 출근길에 흉기에 찔리고 총격을 입어 사망했다. 이란 경찰은 이를 강도 사건으로 처리했지만 테헤란의 치안이 삼엄한 점을 고려하면 설득력이 떨어지는 설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1월에는 간첩 혐의로 이란 셈난 지역 교도소에 수감돼 있던 스위스 관광객이 숨졌다. 당시 이란 사법당국은 스위스 국적자가 감방에 혼자 남은 틈을 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발표하면서 구체적인 인적사항은 밝히지 않았다.
스위스는 1980년 미국과 이란이 단교한 이후 미국을 대신해 이란에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란 내 미국인 체류자를 위한 영사 업무를 대행하는 연락사무소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스위스 외교관들이 IRGC의 주요 감시 대상이라고 SRF는 지적했다.
스위스 연방정보국(FIS)은 이날 발표한 '스위스 2025 안보' 보고서에서 '스위스에 대한 정보활동을 강화한 국가'로 이란, 러시아, 중국 북한을 지목했다. FIS는 스위스가 이란에서 미국을 위해 독특한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스위스 요원들이 적대적인 행위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언급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동호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