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장예진 연합인포맥스 기자 = 미국의 6월 고용지표가 시장 예상을 웃돈 가운데, 뉴욕증시는 상승 출발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는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3일(미국 동부시간) 오전 9시 37분 기준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8.64포인트 상승한 44,693.06에,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27.84포인트 오른 6,255.26에,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25.10포인트(0.61%) 상승한 20,518.23에 움직이고 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장 초반부터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하며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미 노동부는 6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14만7천 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전망치인 11만 명을 웃도는 수치다. 실업률 역시 4.1%로 하락해, 기존 예상치였던 4.3%를 하회했다.
고용시장 강세가 확인되며 미국 경제의 회복 기대가 부각됐지만, 동시에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하면서 지수 상승폭은 다소 제한됐다.
고용지표 발표 이후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달 말 예정된 통화 정책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의 7월 금리 동결 가능성을 전날 76%에서 95%로 상향 반영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3만3천 건으로, 시장 예상치인 24만 건을 밑돌았다. 이는 노동시장이 여전히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페더레이티드 허미스의 캐런 매나 투자 이사는 "노동시장은 다시 한번 예상을 뛰어넘는 강인함을 보여줬다"며 "이제는 '놀라운 회복'이라기보다 '확고한 흐름'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가시권에 들어온 정책 결정과 주요 경제지표 발표로 인해 시장은 점차 불확실성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함께 발표된 미국의 5월 무역적자는 전월보다 113억 달러 늘어난 715억 달러로 집계됐다. 다만 시장 예상치였던 710억 달러보다는 소폭 낮은 수준이다.
한편,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한 대규모 감세 법안의 입법 절차에도 주목하고 있다. 해당 법안은 지난 1일 상원을 통과한 데 이어, 이날 하원에서 최종 표결을 앞두고 있다.
뉴욕증시는 독립기념일(7월 4일) 연휴를 앞두고 이날 오후 1시(미 동부시간) 조기 폐장하며, 금요일인 4일에는 휴장한다.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통신서비스와 임의 소비재가 0.7%, 기술이 0.6% 상승하고 있는 반면 필수소비재가 0.1% 하락 중이다.
종목별로는 클라우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업체 데이터독이 오는 9일 S&P500 지수에 편입된다는 소식에 주가가 10% 상승 중이다.
온라인 여행 업체인 트립어드바이저는 행동주의 투자자 스타보드가 회사 지분 9%를 취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가 17% 급등하고 있다.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업체들의 주가 역시 상승하고 있다. 이들 기업의 발표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중국에 대한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을 해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시놉시스가 3%,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가 4% 오르고 있다.
유럽증시는 일제히 상승 중이다. 유로스톡스50 지수는 전장 대비 0.26% 상승하고 있다. 독일 DAX지수는 0.41%, 영국 FTSE 지수는 0.52%, 프랑스 CAC40 지수는 0.26% 오르고 있다.
국제 유가는 상승하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47분 현재 근월물인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 대비 0.68% 하락한 배럴당 66.99달러,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9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56% 내린 배럴당 68.72달러를 기록 중이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국제뉴스공용1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