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 세 번째 메이저대회인 윔블던 테니스대회 초반부터 상위 순위자들이 탈락하는 이변이 속출했다.
대회가 3일(한국시간) 2라운드에 접어든 가운데, 남자 단식 3번 시드 알렉산더 츠베레프(3위·독일), 7번 로렌조 무세티(7위·이탈리아), 8번 홀거 루네(8위·덴마크), 9번 다닐 메드베데프(9위·러시아) 등 톱10 시드 중 네 명이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윔블던 3연패에 도전하는 카를로스 알카라스(세계 2위·스페인)의 우승 가능성이 더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번 시드 알카라스는 이날 영국 런던 올잉글랜드클럽에서 열린 대회 2회전에서 올리버 트라베트(733위·영국)를 3-0(6-1, 6-4, 6-4)으로 제압했다.
여자 단식 상황도 비슷하다. 이날 마리 부즈코바(48위·체코)를 2-0(7-6〈7-4〉, 6-4)으로 물리치고 3회전에 진출한 톱 시드 아리나 사발렌카(1위·벨라루스)를 뺀 톱5 시드 선수 전원이 대회 초반 탈락했다. 2번 시드 코코 고프(2위), 3번 제시카 페굴라(3위·이상 미국), 5번 정친원(6위·중국)은 1회전에서, 4번 자스민 파올리니(5위·이탈리아)는 2회전에서 탈락했다. 이번 대회 시드 선수 중 1회전 탈락한 선수가 23명인데, 남·여 32명씩 시드를 배정한 2001년 이후 가장 많다.
이변의 원인으로 무더위가 첫손에 꼽힌다. 개막일 기온이 섭씨 32.3도까지 올라가 역대 최고 기온 신기록을 세웠다. 윔블던의 잔디코트는 다른 코트보다 튕긴 공이 빠르고 낮아 강서브를 구사하는 상위 순위자에 유리하다. 무더위로 이런 잔디코트의 특성이 실종됐다. BBC에 따르면, 무더위로 잔디가 수분을 잃어 매끄러워야 할 코트 표면이 거칠어졌고, 따라서 마찰이 생겨 튕긴 공이 느려지거나 클레이(진흙)코트처럼 높게 튀고 불규칙 바운드도 많아졌다.
윔블던 잔디 관리 책임자 닐 스터블리는 BBC 인터뷰에서 “보통 선수는 미세한 차이를 알아차리지 못하지만, 세계 정상급 선수가 느끼는 바운드 타이밍은 평소보다 0.1초 느리다”라고 설명했다. 선수들도 “수분기 없는 잔디는 거칠다. 평소와는 너무 다르다” “바운드가 최악이다. 이건 잔디라고 볼 수 없다. 클레이코트보다 (튕긴) 공의 속도가 느렸다”고 불평했다. 박용국 해설위원은 “공이 느리고 바운드가 높으면 속전속결형보다 랠리형 승부가 많다. 기술은 물론, 체력과 상황 대처 능력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긴 랠리의 체력전에 강한 알카라스에게 유리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