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양호한 고용은 착시…민간 고용은 8개월 만에 최소"
WSJ "6월 고용 증가 폭 절반은 지방정부 덕…민간은 고용 꺼려"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6월 들어 미국의 고용이 양호한 증가세를 보였지만, 공공 부문을 제외한 민간 부문은 고용을 꺼리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전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6월 비농업 고용 보고서에서 민간 부문의 고용 증가 폭은 전월 대비 7만4천명으로 지난해 10월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앞서 미 노동부는 6월 미국의 전체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14만7천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최근 12개월간 월평균 증가 폭(14만6천명)을 유지한 데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1만명)를 크게 웃돌면서 트럼프 관세 여파로 고용 사정이 크게 나빠지는 것 아니냐는 시장의 우려를 덜었다.
그러나 6월 고용 증가 폭의 절반이 주(州) 정부 및 지방정부 등 공공 부문 고용 증가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민간 부문의 고용 현실은 이미 위축돼 있다고 WSJ은 설명했다.
실제로 6월 중 주 정부 고용만 4만7천명 증가했는데, 주로 교육(4만명) 부문이 고용 증가를 주도했다.
반면 민간 부문의 고용 사정을 산업별로 뜯어보면 절반 이상의 업종이 6월 들어 전월 대비 고용을 줄였으며, 이처럼 대부분 업종에서 고용이 줄어든 현상은 팬데믹 초기인 지난 2020년 4월 이후 총 3차례밖에 발생하지 않았다고 WSJ은 설명했다.
WSJ은 "지속되는 고금리 부담과 연방정부의 이민자 단속, 관세 정책 불확실성 여파로 더 많은 기업이 고용을 줄여나가고 있다"라고 진단했다.
월가의 주요 투자은행들도 6월 고용지표가 대체로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면서도 민간 부문 취업자 수가 줄어든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한국은행 뉴욕사무소 보고서에 따르면 JP모건은 6월 고용 지표에 대해 "총고용이 증가하고 실업률이 하락한 점은 좋은 소식임이 분명하다"면서도 "민간 취업자 수 증가가 7만4천명에 그친 가운데 경제활동 참여율이 하락하고 노동시간이 감소한 것은 우려스러운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골드만삭스도 "시장은 헤드라인 숫자에 크게 반응했지만,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예상치를 웃돈 것은 민간 부문이 아니라 상당 부분 지방정부에 의해 주도됐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라고 평가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지헌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