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 전선 곳곳 압박…최대규모 드론 공습에 키이우 등 큰 피해
"러 현단계 목표, 영토 장악보다는 상대방 병력·장비 파괴 노려"
트럼프 발빼자 우크라 전선 밀어붙이는 푸틴…러 여름 공세
1000㎞ 전선 곳곳 압박…최대규모 드론 공습에 키이우 등 큰 피해
"러 현단계 목표, 영토 장악보다는 상대방 병력·장비 파괴 노려"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을 일부 중단하는 등 우크라이나전에서 발을 빼려는 틈을 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대대적 여름 공세에 나섰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분석했다.
WSJ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전쟁이 4번째 여름을 맞이한 가운데 러시아는 최근 전선에서의 지상 공격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등 주요 도시들에 대한 폭격을 전례 없이 강화하고 있다.
AP통신과 WSJ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3일 밤과 4일 새벽 사이 7시간에 걸쳐 드론 539대와 미사일 11발을 동원해 우크라이나를 공습했으며, 이로 인해 최소 1명이 숨지고 어린이를 포함해 최소 26명이 부상했다.
이는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본격적 침공을 개시한 이래 우크라이나에 가한 최대 규모의 공습이다. 러시아는 지난 달 28일 밤부터 29일 새벽까지 공습에서 동원했던 드론 477대와 미사일 60발보다 더 많은 공격무기를 쏟아부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집중 타격 대상으로 삼아 공습을 강화하는 동시에 1천㎞에 이르는 전선 곳곳에서 육상 공세도 강화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북동부 수미 지역에 약 5만명의 병력을 집결시켰으며, 이 지역의 중심도시에서 약 20㎞ 거리까지 진군했다.
해당 지역에서 러시아군의 전투병력 인원은 3대 1 비율로 우크라이나군을 압도한다는 게 우크라이나군의 설명이다.
아직은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의 추가 진격을 막아서고 있으나 전선의 몇몇 지점에서는 러시아군의 공세 강화로 압박 강도도 점점 커지고 있다.
러시아군의 진군 속도가 비록 더디고 러시아 측의 인명 피해도 크지만, 현재 단계에서는 점령한 영토를 늘리는 것 자체가 러시아에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게 WSJ의 설명이다.
WSJ은 우크라이나의 병력과 장비를 파괴하고 소모토록 유도하는 한편 우크라이나의 전쟁 수행에 대한 국내 민간인들과 서방 국가들의 지지를 약화시키는 것이 푸틴 대통령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3일 밤 공습을 시작하기 몇 시간 전에 푸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휴전 제안을 거부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지배력을 되찾겠다는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러시아 관영 타스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의 측근인 유리 우샤코프는 통화 내용에 대해 "우리 대통령은 러시아가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러시아의 목표가 "잘 알려져 있는 현재 상태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면서 "러시아는 이런 목표들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의 가장 강력한 후원자였던 미국이 전쟁에서 발을 빼려는 틈을 타서 우크라이나의 군과 민간인들에 대한 압박을 가중해 우크라이나의 전쟁 수행 능력과 의지를 꺾어버리겠다는 것이 푸틴의 전략이라고 WSJ은 분석했다.
WSJ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공급을 중단한 무기들 중에는 그간 우크라이나의 도시들을 러시아 공습으로부터 보호해왔던 방공 미사일이 포함돼 있다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탄도미사일을 격추하기 위해 미국 레이시언의 패트리엇 미사일을 공급받아 사용해왔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재고 부족'을 이유로 들면서 패트리엇 미사일의 우크라이나 공급을 중단시켰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패트리엇 미사일을 구입해 우크라이나에 보내줄 용의가 있다며 3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했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4일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이 방안을 허용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실제로 미국 정부가 패트리엇 추가 수출에 동의해줄지 등은 아직 불확실하다.
이런 가운데, 우크라이나군은 전방에서 멀리 떨어진 러시아 영토 깊숙한 곳을 드론으로 타격하고 러시아 고위 지휘관들에 대한 표적 공격을 강화해 러시아의 전쟁 수행 역량에 타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반격을 시도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임화섭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