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독시’ ‘좀비딸’ ‘악마가 이사왔다’…한국영화 구원투수 될까

중앙일보

2025.07.05 21:00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300억원대의 제작비가 투입된 여름 대작 '전지적 독자 시점'의 한 장면.  사진 롯데엔터테인먼트
'한국 영화 침체를 타개할 구원 투수의 등장'.

올 상반기 흥행작 부재로 보릿고개를 겪고 있는 한국 영화계가 올 여름 개봉작에 걸고 있는 기대다.
'파묘' '범죄도시4'가 각각 천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을 주도했던 지난해 상반기와 달리, 올해는 천만 영화는커녕, 눈에 띄는 흥행작도 드물다.

올해 한국 영화 최고 흥행작 '야당'의 관객수는 337만명에 불과하다. 200만 관객을 넘은 작품도 '야당'을 포함해 '히트맨2'(254만 명), '승부'(214만 명) 등 단 세 편에 불과하다.

한국 영화계의 시름이 깊어지는 상황에서 '전지적 독자 시점', '좀비딸', '악마가 이사왔다' 등 세 편의 영화가 여름 극장가에 출격한다.

가장 주목 받는 영화는 판타지 블록버스터 '전지적 독자시점'(23일 개봉)이다. 누적 조회 2억뷰를 찍은 동명 인기 웹소설 원작으로, 300억원대의 제작비가 투입됐다. 안효섭, 이민호, 채수빈, 나나, 지수 등 캐스팅도 화려하다.

'더 테러 라이브', 'PMC: 더 벙커'의 김병우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괴물이 득실대는 소설 속 공간과 현실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유일한 독자 김독자(안효섭)와 소설 주인공 유중혁(이민호)이 결말을 바꾸기 위해 아찔한 모험을 펼친다.

쌍천만 대작 '신과함께' 시리즈에서 저승 세계를 생생하게 그려낸 리얼라이즈픽쳐스가 제작을 맡았다. 김 감독은 최근 제작 발표회에서 "관객 스스로 '나라면 어떻게 할까?'라는 질문을 갖게 되는 참여형 이야기"라며 "현실과 판타지의 균형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고심했다"고 밝혔다.

영화 '좀비딸'의 한 장면. 좀비가 된 딸을 조련하는 딸바보 아빠(조정석)의 고군분투를 그렸다. 사진 NEW
30일 개봉하는 '좀비딸'은 좀비 장르물의 틀을 벗어난 코미디다. 동명 웹툰이 원작인 이 작품은 좀비가 된 사춘기 딸 수아(최유리)를 지키기 위해 극비 훈련에 돌입한 딸바보 아빠 정환(조정석)의 고군분투를 그렸다.

'파일럿'(471만)을 지난해 여름 최고 흥행작으로 이끈 '흥행보증 수표' 조정석이 주연을 맡은 점이 기대 포인트다. 영화 '인질'을 연출한 필감성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고, 이정은·조여정·윤경호 등 명품 조연들이 조정석의 코믹 연기를 뒷받침한다.

조정석을 생각하며 시나리오를 썼다는 필 감독은 "코믹한 장면과 가슴을 찌르는 아픈 장면을 호감 어리게 표현할 수 있는 배우"라고 말했다. 좀비 딸을 '조련'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코미디, 감동적인 부성애가 얼마나 자연스럽게 녹아들 지가 관건이다.

2019년 여름 '엑시트'(942만)의 흥행을 이끈 조정석, 임윤아가 경쟁자로 만나는 것도 올 여름 극장가의 관전 포인트다. 임윤아는 8월 13일 개봉하는 미스터리 코미디 '악마가 이사왔다'로 여름 영화 대전에 뛰어든다.

영화 '악마가 이사왔다'의 한 장면. 주연 임윤아(왼쪽)의 연기 변신이 기대되는 작품이다. 사진 CJ ENM
청년 백수 길구(안보현)가 새벽마다 악마로 깨어나는 아랫집 여자 선지(임윤아)를 감시하는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면서 기상천외한 경험을 하는 이야기다.

'엑시트'에 이어 이상근 감독과 또 다시 호흡을 맞춘 임윤아의 연기 변신이 기대되는 작품이다. '엑시트' 뿐 아니라 '베테랑' 시리즈, '모가디슈' '밀수' 등 흥행작을 만든 외유내강이 제작을 맡았다.

CJ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역대급 캐릭터 변신을 시도한 임윤아, 어수룩한 매력을 발산하는 안보현의 연기 궁합이 미스터리 코미디 장르에 잘 녹아든다"고 말했다.

정지욱 영화평론가는 "판타지적 요소가 세 영화의 공통점"이라며 "진지한 접근보다는 코믹하고 신파적 요소로 폭 넓은 관객을 끌어모으려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이어 "첫번째 타자인 '전지적 독자 시점'의 초반 흥행 여부가 다른 영화들에도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가 제공하는 영화관 할인쿠폰에 대한 기대도 크다. 멀티플렉스에서 8월부터 사용 가능하며, 1인당 최대 4회까지, 회당 6000원의 관람료 할인을 받을 수 있다.

황재현 CGV 전략지원담당은 "할인쿠폰 지급이 여름 극장가에 활기를 불어 넣으며, 한국 영화 흥행에 큰 도움을 줄 것 같다"면서 "영화 산업 선순환 구조 회복에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현목([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