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내달 주담대 8조 전망, 가계빚 뇌관에 금리인하 잠시 멈출 듯

중앙일보

2025.07.06 08:01 2025.07.06 13:24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열차가 잠시 멈춰 설 전망이다. 들썩이는 집값과 가계부채가 다시 한국 경제 부실 뇌관으로 떠올라서다.

오는 10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2.5%로 유지할 가능성이 커졌다.

6일 금융·정치권에 따르면 한은은 지난달 27일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오는 8월 전체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8조원 가까이 급증하겠다는 예측을 내놨다. 월별 주담대 증가 규모를 기준으로 8조원은 수도권 주택시장이 과열 양상을 나타낸 지난해 8월(8조5000억원) 이후 최대 수준이다.

한은이 이런 전망을 한 건 지난 6월까지 늘어난 주택 거래가 2~3개월 시차를 두고 대출 수요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한은은 6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1만2000호 규모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 해제(2월 13일~3월 23일) 여파로 급증한 3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9500호)을 뛰어넘는 수준인 데다, 2022년 이후 장기 평균(월 5600호)의 2배가 넘는다.

다만 수도권 주담대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강도 높은 6·27 대책 발표 이후 아파트값 주간 상승률은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소폭 하락했다. 주택시장 과열이 소강 국면에 접어들면 한은이 8월쯤 다시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금리 인하의 발목을 잡아 온 환율 불안은 최근 달러 약세 등에 다소 잠잠해진 상황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성장 친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해 나가는 동시에 정책적 대응을 통해 금리 인하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적정 기준금리 수준을 올해 3분기 2.29%, 내년 1분기 2.05%로 추산했다.





김경희([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