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상병 사건 수사 방해 의혹을 수사하는 순직해병특검이 7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소환해 조사한다.
김 전 사령관은 이날 오전 10시 20분 서울 서초동 해병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의 피의자 신분이다. 해병특검은 이번 주부터 외압 의혹의 몸통 격인 이른바 'VIP 격노설'을 본격 수사할 전망이다.
VIP 격노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당시 대통령실 회의에서 고(故) 채수근 상병 순직사건과 관련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고, 이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돌연 언론 브리핑과 경찰 이첩 보류를 지시했다는 의혹이다. 대통령실 회의는 당시 오전 11시쯤 열렸는데, 이 전 장관은 오전 11시 54분쯤 대통령실 명의인 '02-800-7070' 번호로 걸려 온 전화를 받은 뒤 김 전 사령관에게 경찰 이첩 보류 및 언론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
김 전 사령관은 이날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알린 적 없다는 입장은 여전한가', '이 전 장관에게 명시적으로 이첩 보류 지시받았나', '민간인 신분으로 왔는데 특검 수사에 협조할 계획인가' 등의 취재진 질문에 모두 답변하지 않은 채 사무실로 들어갔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특검 브리핑에서 "김 전 사령관이 대통령실과 이 전 장관으로부터 어떠한 지시를 받았는지 등을 주로 조사할 예정"이라며 "주요 수사 대상인 대통령실의 수사 외압, VIP 격노설 관련 핵심 조사자인 만큼 내용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 특검보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부터 넘겨받은 김 전 사령관 관련 기록을 모두 확인했고, 관련 부분에 대한 조사가 상당히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사령관은 그간 법정과 국회 등에서 증언할 때 'VIP 격노설'을 부인해왔다. 다만, 지난해 12월부로 전역해 민간인 신분으로 바뀜에 따라 이전과 달리 진술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