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김영환 충북지사 “오송 참사 희생자 추모비·현판 건립…유족 아픔 공감”

중앙일보

2025.07.06 23:04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김영환 충북지사가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 추모 주간 첫날인 7일 충북 청주시청에 마련된 시민분향소를 찾아 헌화하고 있다. 사진 충북도


도청 안에 추모비, 현판은 차도에 설치

충북도가 ‘오송 지하차도 참사’ 희생자의 넋을 기리는 추모비와 추모 현판을 건립한다.

김영환 충북지사는 오송 참사 추모 주간 첫날인 7일 청주시청 임시청사에 마련된 시민분향소에서 헌화한 뒤 “유족과 희생자분들께 위로가 될 수 있도록 추모비 건립과 추모 현판을 다는 사안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사고 2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많은 상처를 안고 계신 분들을 위해 충북도가 앞장서서 추모 사업 등을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추모비는 도청 안에, 현판은 도로(508번 지방도 상 궁평2지하차도)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 중”이라며 “현판은 도로 시설물이라 관련 법률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오송참사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위는 그동안 충북도와 여러 차례 면담에서 추모비 건립과 추모 현판 등 추모사업과 심리치료 지원을 요청했었다. 김 지사는 “추모사업은 계속 논의를 해 왔지만, 추모비를 도청 안에 만드는 것은 전례가 없던 일이라 여러 견해가 있었다”면서도 “희생된 분을 비롯한 유족의 아픔과 오랜 기간 상처를 고려해 전향적인 판단을 했다”고 말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추모비는 도청을 방문하는 많은 도민이 볼 수 있도록 높이 1m 크기의 조형물을 연못광장에 놓는 걸 생각하고 있다”며 “도청 안 어디에 놓을 지는 바뀔 수도 있다. 유족과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추모 현판은 사고 장소인 오송궁평2지하차도 진입로 양방향 상단에 설치한다. 가로 6m·세로 30㎝ 크기로, 안에 들어갈 문구는 ‘오송 참사 희생자 기억의 길’로 정했다. 박성호 충북도로관리사업소장은 “현판 제작은 이미 마쳤다”며 “지하차도 위에 다는 시설물이라 도로법상 현판 설치가 가능한지 국토교통부 회신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오송참사 2주기를 앞둔 7일 충북도청에서 유가족과 생존자협의회, 시민대책위원회가 공동으로 참사 2주기 추모 주간을 선포하고 있다. 김성태 객원기자


유족협의회 “국정조사로 진상규명 해야”

이날 오송참사유가족·생존자협의회는 충북 도청에서 오송 참사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와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선서에서 ‘오송 참사 등 사회적 참사의 진상을 명확히 규명하겠다’고 했고, 국회 역시 국정조사를 통한 진상규명을 약속했다”며 “새 정부와 국회가 이 약속을 반드시 지키고, 생명안전기본법을 제정해 안전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앞장서길 바란다”고 했다.

오송 참사는 2023년 7월 15일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돼 지하차도에 갇힌 14명이 사망한 사고를 말한다. 당시 지하차도에서 350여m 떨어진 미호강 변 임시제방이 터지면서 대량의 하천수가 차도 안으로 유입돼 인명 피해가 컸다. 사고 현장 인근에서 미호천교 확장 공사를 총괄한 현장소장은 업무상 과실치사상 등 혐의로 기소돼 징역 6년 형이 확정됐다.

이범석 청주시장과 이상래 전 행복도시건설청장 등 기관장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재판이 진행 중이다. 오송참사 시민대책위는 “김영환 충북지사에 대한 불기소 처분은 잘못됐다”며 지난 2월 대전고검에 항고한 뒤 재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최종권([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