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中·英·베트남만 피했다…트럼프발 관세 청구서에 떠는 세계

중앙일보

2025.07.06 23:43 2025.07.07 00:3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미국이 상호관세의 유예 기간이 8일(현지시간)로 끝난다. 전 세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낼 편지를 긴장하며 기다려야 하는 처지다. 그는 6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전 세계 국가에 미국의 관세 서한 또는 합의(결과)가 7일 자정(한국시간 8일 새벽 1시)부터 전달될 것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지난 4월 트럼프는 60여 개 국가에 개별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뒤 90일 유예를 선언했다. 미국 정부는 이 기간이 끝나는 시점을 시한으로 삼아 각국과 무역 협상을 벌여왔다. 트럼프의 편지는 유예 종료시까지 합의를 못한 국가에 자신이 일방적으로 설정한 관세를 통보하고 협상을 종결할 거란 압박이다.
지난달 10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손가락으로 어딘가를 가리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유예기간 종료일(8일)을 넘겨도 미국에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지 않을 수 있는 국가는 중국과 영국, 베트남뿐이다. 영국은 지난 5월, 베트남은 지난 2일 각각 10%와 20%의 관세율을 적용받기로 미국과 무역 합의를 이뤘다.

중국은 미국과 합의를 이룬 건 아니지만 다른 나라보다 한 달의 시간을 벌었다. 미국은 지난 4월 중국에 145%의 관세율을 부과했다. 하지만 중국이 희토류 수출통제 등으로 압박하자 지난 5월 관세율을 8월 12일까지 30%로 유지한 채 협상을 이어가기로 중국과 합의한다.
지난 5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미국과 중국간 고위급 무역협상에 참석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왼쪽)과 허리펑 중국 부총리가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들 나라를 제외한 국가들은 유예기간 종료 전까지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지난 4월 발표된 상호 관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다. 트럼프는 일부 국가에 대해선 ‘괘씸죄’를 적용해 더 높은 관세율을 적용할 수 있다는 엄포도 놓고 있다.

이에 각국 정부들은 그전까지 조금이라도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지난 4월 20%, 최근엔 트럼프로부터 최대 50%의 상호관세를 물릴 수 있다는 경고를 받은 유럽연합(EU)은 일단 8일까지 기본적인 잠정 합의를 맺어 일단 관세 부과는 막는 것에 힘을 집중하고 있다. 영국 가디언은 “보복관세 위협까지 벌인 EU지만 현재는 원칙에 대한 합의인 ‘기본 합의’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차준홍 기자
영국과 베트남에 이어 미국과 세 번째 무역 합의를 이룰 국가론 인도(상호관세율 26%)가 꼽힌다. 트럼프는 최근 몇 주간 인도와의 협정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말해왔다. 하지만 인도는 미국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도 대비하고 있다. 지난 5일 인도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을 상대로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하고, 상공부 장관이 나서 관세 유예가 끝나도 협상을 무리해서 타결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 2월 미국 백악관을 방문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오른쪽)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환영을 받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일본(24%)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지만 쉽게 양보하진 않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3일과 5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전화 통화를 했고, 7차례에 걸친 고위급 협상을 미국과 벌여왔지만 큰 진전이 없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6일 “동맹국이라도 할 말은 해야 한다. 쉽게 타협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태국(36%)은 미국에 양보안을 거듭 제시 중이다. 피차이 춘하바지라 태국 재무장관은 6일 “대미 무역흑자를 5년 내로 70% 줄이고 7~8년 후 균형을 맞추는 목표를 미국에 제시했다”고 블룸버그통신에 말했다. 태국은 최대 10%, 최소 20%의 관세율로 낮추는 걸 목표로 삼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협상 타결이 임박했다고 직접 밝히는 국가도 있다. 인도네시아(32%)는 지난 4일 미국과 핵심광물, 에너지, 국방 협력, 시장 접근을 아우르는 무역 합의 타결이 임박했다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캄보디아(49%) 정부도 미국과 상호 무역에 대한 기본 틀 합의에 도달했다며 조기 타결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승호.조서영([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