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1일부터 1인당 최대 55만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면서 소상공인들의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대기업 가맹 수퍼마켓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편의점, 프랜차이즈 가맹점과 달리 기업형 수퍼마켓(SSM)은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전국 SSM 점포 두 곳 중 하나는 개인이 운영하는 가맹점인 만큼, 소비 진작의 수혜를 입을 수 있도록 적용 기준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
“우리도 소상공인”
SSM이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된 것에 대해 점주들은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다이소, 올리브영, BBQ 등 프랜차이즈 업체나 GS25·CU·세븐일레븐·이마트24 등 편의점은 직영점을 제외하고 가맹점주가 운영하는 점포에서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어서다.
GS더프레시·롯데슈퍼·홈플러스익스프레스·이마트에브리데이 등 국내 SSM 4사의 전국 점포 수는 1434개로 이 중 48%(689개)는 가맹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 중 가맹 비중이 높은 GS더프레시의 경우 전국 550개 점포 중 80%인 440개가 가맹점이다.
지방 대도시에서 롯데슈퍼 가맹점을 운영하는 한 50대 점주는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동네 가게라는 점에서 일반 수퍼와 다를 게 없다”며 “대형수퍼 세 곳이 모인 이 동네 주민들은 소비쿠폰을 쓰려면 다른 곳으로 장을 보러 가야할 판”이라고 말했다.
━
정책 건의에도 변화 없어
SSM이 소비 진작 정책 대상에서 배제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긴급재난지원금(2020년), 상생지원금(2021년)이 지급됐을 때도 SSM은 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됐다. 당시 수도권 일부 SSM 가맹점이 사용처에 포함되기도 했으나 행정안전부의 오류 또는 지자체의 별도 협의를 통해 이뤄진 예외 상황이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됐던 지난 2020년 5월 편의점 매출은 전년 대비 0.8% 증가한 반면, SSM 매출은 12.4% 감소했다. 당시 산업부는 SSM 매출 감소의 원인 중 하나로 재난지원금 사용처 제외를 꼽았다.
수퍼마켓,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들을 회원사로 두고 있는 한국체인스토어협회(KOCA)는 지난 2021년 행정안전부에 SSM 가맹점도 재난지원금 사용처에 포함해달라는 건의문을 전달했지만 변화는 없었다. KOCA 관계자는 “다른 프랜차이즈 매장도 대기업이 하는 가맹 사업의 일환인데 지역 밀착형 수퍼마켓과 가맹 계약을 맺은 소상공인들을 정책에서 배제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소비쿠폰이 쓰일 4개월 동안 고객 방문이 줄어들 것을 우려하는 점주들이 많다”고 말했다.
━
“현실 반영 필요” 주장 나와
SSM업계에서는 가맹 비중이 절반이라는 점을 고려해 소상공인 지원 범위에도 SSM 가맹점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SSM의 경우 ‘대기업 수퍼’라는 인식이 강하다 보니 가맹점도 정책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 같다”며 “운영 구조나 업종에 따라 선별 적용하는 방식으로 제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마트·수퍼·편의점 등이 없는 농촌 면 단위 지역에 한해 농협 하나로마트도 소비쿠폰 사용이 허용됐지만 대상이 너무 적다는 지적도 나온다. 면 지역 하나로마트 1307곳 중 125곳(9.6%)만 이런 예외를 인정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