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용인, 조은정 기자]7일 경기 용인시 용인 미르 스타디움에서 2025 동아시아 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대한민국 남자 축구 대표팀과 중국의 개막전이 열렸다.한국은 중국과 첫 경기를 시작으로 11일 홍콩, 15일 일본과 격돌한다. 경기는 모두 용인에서 치러지며 3경기 성적에 따라 그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전반 한국 이동경에 파울을 범한 중국이 옐로 카드를 받고 있다. 2025.07.07 /[email protected]
[OSEN=용인, 조은정 기자]7일 경기 용인시 용인 미르 스타디움에서 2025 동아시아 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대한민국 남자 축구 대표팀과 중국의 개막전이 열렸다.한국은 중국과 첫 경기를 시작으로 11일 홍콩, 15일 일본과 격돌한다. 경기는 모두 용인에서 치러지며 3경기 성적에 따라 그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전반 한국 이동경이 선제골을 넣고 있다. 2025.07.07 /[email protected]
[OSEN=용인, 고성환 기자] 역시 중국이다. 홍명보호가 위험한 반칙에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축구대표팀은 7일 오후 8시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개막전에서 중국과 맞붙고 있다. 전반이 끝난 현재 한국이 2-0으로 앞서고 있다.
한국은 3-4-3 포메이션으로 시작했다. 문선민-주민규-이동경, 이태석-김진규-김봉수-김문환, 김주성-박진섭-박승욱, 조현우가 선발로 나섰다. 김봉수는 A매치 데뷔전이다.
데얀 주르예비치 감독이 지휘하는 중국은 4-2-3-1 포메이션을 가동했다. 장 위닝, 왕 위동-콰이 지원-시에 원넝, 황 정위-가오 텐이, 우미티장 위쑤푸-주 첸제-장 셩룽-가오 준이, 얀 준링이 선발로 나선다. 가장 최근 경기였던 바레인전과 비교하면 11명 중 7명이 바뀌었다. 특히 포백 라인은 모두 교체됐다.
초반 양상은 팽팽했다. 중국은 젊은 선수들이 많은 만큼 왕성한 활동량과 적극적인 압박을 통해 주도권을 가져오려 했다. 한국도 침착하게 공을 잘 돌리며 쉽게 흐름을 내주지 않았다.
[OSEN=용인, 조은정 기자]7일 경기 용인시 용인 미르 스타디움에서 2025 동아시아 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대한민국 남자 축구 대표팀과 중국의 개막전이 열렸다.한국은 중국과 첫 경기를 시작으로 11일 홍콩, 15일 일본과 격돌한다. 경기는 모두 용인에서 치러지며 3경기 성적에 따라 그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전반 한국 이동경이 선제골을 넣은 뒤 기뻐하고 있다. 2025.07.07 /[email protected]
[OSEN=용인, 조은정 기자]7일 경기 용인시 용인 미르 스타디움에서 2025 동아시아 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대한민국 남자 축구 대표팀과 중국의 개막전이 열렸다.한국은 중국과 첫 경기를 시작으로 11일 홍콩, 15일 일본과 격돌한다. 경기는 모두 용인에서 치러지며 3경기 성적에 따라 그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전반 한국 주민규가 팀의 두 번째 골을 넣은 뒤 기뻐하고 있다. 2025.07.07 /[email protected]
한국이 이른 시간 선제골을 터트렸다. 전반 8분 이동경이 박스 우측 부근에서 좋은 터치로 수비를 벗겨낸 뒤 왼발로 감아찼다. 공은 환상적인 궤적을 그리며 중국 골키퍼를 지나 골망을 갈랐다. 지난 2021년 6월 스리랑카전 이후 4년 만에 나온 이동경의 A매치 2호 골이다.
두 번째 골도 한국의 몫이었다. 전반 21분 이태석이 왼쪽에서 날카로운 크로스를 올렸다. 이를 주민규가 높이 뛰어올라 강력한 헤더로 연결, 추가골을 뽑아냈다. 김문환과 이동경부터 시작된 반대 전환에 이은 정확한 크로스 플레이까지 좋은 전개로 만들어낸 득점이다.
경기가 잘 풀리지 않은 탓일까. 중국이 거칠어지기 시작했다. 전반 34분 가오 텐이가 사이드 라인 근처에서 이동경의 발을 밟는 위험한 플레이로 경고를 받았다.
고의성이 다분한 반칙이었다. 가오 텐이는 이동경이 이미 왼발로 공을 처리한 뒤였음에도 무리하게 발을 뻗었고, 정확히 이동경의 오른발을 밟았다. 공을 차려 움직이는 발이 아니라 디딤발을 보고 들어간 것. 충분히 퇴장까지도 나올 수 있는 장면이었지만, 이번 대회는 비디오 판독(VAR)이 없기에 가오 텐이는 그대로 옐로카드에서 끝났다.
남은 시간 중국의 거친 플레이와 부상에 주의해야 하는 한국 선수들이다. 두 골 차로 끌려가고 있는 중국이 후반전 들어 마음이 더욱 급해진다면 어떤 장면이 나오게 될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