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용인, 조은정 기자]2025년에도 '공한증'은 이어진다. 홍명보호가 무더위를 뚫고 시원한 대승을 거뒀다.홍명보 감독이 이끄는대한민국 축구대표팀은7일 오후 8시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2025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개막전에서 중국을 3-0으로 꺾었다.양팀이 경기 중인 가운데 관중석이 비어있다. 2025.07.07 /[email protected]
[OSEN=용인미르스타디움, 고성환 기자]
[OSEN=용인, 고성환 기자] 개막전이지만, 관중석이 너무나 많이 비었다. 6년 만에 한국에서 열리는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이 흥행에 실패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축구대표팀은 7일 오후 8시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회 개막전에서 중국을 3-0으로 꺾었다.
이로써 우승에 도전하는 한국은 기분 좋게 첫 단추를 끼웠다. 대승을 거둔 대표팀은 오는 11일 홍콩, 15일 일본과 격돌한다. 경기는 모두 용인에서 치러지며 3경기 성적에 따라 그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홍명보호의 목표는 역시 우승이다. 물론 옥석 가리기도 중요하지만, 안방에서 열리는 대회인 만큼 자존심도 잃을 수 없다. 손흥민을 대신해 이번 대회 주장을 맡는 베테랑 골키퍼 조현우도 "굉장히 중요한 대회라고 생각한다. 무조건 우승해야 한다"라고 각오를 다졌다.
한국은 3년 전 열린 지난 대회에선 일본에 0-3으로 패하는 '요코하마 참사' 끝에 2위를 기록했다. 이번 대회는 안방에서 열리는 만큼 정상에 오르면서 2019년 부산 대회 이후 처음으로 트로피를 들어 올릴 기회다.
[OSEN=용인, 조은정 기자]2025년에도 '공한증'은 이어진다. 홍명보호가 무더위를 뚫고 시원한 대승을 거뒀다.홍명보 감독이 이끄는대한민국 축구대표팀은7일 오후 8시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2025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개막전에서 중국을 3-0으로 꺾었다.경기 종료 후 한국 축구 대표팀이 중국 관중석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2025.07.07 /[email protected]
하지만 관중석엔 빈 자리가 가득했다. 경기가 평일 저녁에 열리는 데다가 접근성 문제와 유럽파의 부재로 인해 팬들이 많이 모여들지 않았다. 지난해 10월 이라크전이 열렸을 때 35000여 명이 모여들을 때와 비교하면 관중 수가 뚝 떨어졌다.
경기가 시작된 뒤에도 관중석 2층은커녕 1층에도 빈 자리가 훨씬 많았다. 경기장 주변에도 인파라고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결국 이날 공식 입장 관중은 4426명에 불과했다. 약 37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경기장임을 고려하면 10%를 겨우 넘긴 것.
불편한 교통뿐만 아니라 날씨도 도와주지 않았다. 용인미르스타디움이 있는 용인 삼가동은 킥오프 직전까지 체감 온도 33도와 습도 73%에 달했다. 폭염 경보까지 내려진 만큼 팬들이 발걸음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남은 대회 기간도 무더위가 예고돼 있다. 한동안 30도를 훌쩍 넘는 더위가 이어질 예정이다. 이대로라면 앞으로도 흥행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OSEN=용인, 조은정 기자]7일 경기 용인시 용인 미르 스타디움에서 2025 동아시아 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대한민국 남자 축구 대표팀과 중국의 개막전이 열렸다.한국은 중국과 첫 경기를 시작으로 11일 홍콩, 15일 일본과 격돌한다. 경기는 모두 용인에서 치러지며 3경기 성적에 따라 그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후반 한국 김주성이 팀의 세 번째 골을 넣은 뒤 축하를 받고 있다. 2025.07.07 /[email protected]
한편 홍명보호는 찜통 더위를 뚫고 시원한 대승을 거뒀다. '깜짝 스리백'과 여러 선수를 테스트하면서도 중국을 상대로 압도적인 실력을 뽐냈다.
한국은 첫 경기부터 새 얼굴을 대거 기용했다. 홍명보 감독은 문선민-주민규-이동경, 이태석-김진규-김봉수-김문환, 김주성-박진섭-박승욱, 조현우로 선발 명단을 꾸렸다. 김봉수는 A매치 데뷔전이었다.
그럼에도 한국은 강했다. 전반 8분 이동경의 환상적인 왼발 감아차기로 포문을 열면서 중국의 강한 압박을 떨쳐냈다. 여기에 전반 21분 주민규가 이태석의 크로스를 강력한 헤더로 마무리하며 2-0을 만들었다.
후반에도 반전은 없었다. 한국은 후반 12분 나온 김주성의 A매치 골까지 묶어 3-0 대승을 완성했다. 중국은 브라질 출신 귀화 선수 사이 얼지니아오(세르지뉴)를 비롯해 여러 교체 카드를 활용했지만, 끝내 한국의 골문을 여는 데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