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번역자 김정아(56) 박사는 이렇게 말했다. 그는 “(이전 번역본들에서 발견한) 오역을 모두 고쳤고, 도스토옙스키의 삶의 궤적, 당시 사회와 경제 상황, 개인적 사상 변화까지 고려하여 번역했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노문과를 나와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은 김 박사는 그동안 지식을만드는지식(지만지) 출판사에서 『죄와 벌』(2020), 『백치』(2021), 『악령』(2023) 번역본을 출간한 데 이어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2025)로 러시아 대문호 표도르 도스토옙스키(1821~1881)의 ‘4대 장편’ 번역을 완수했다. 그는 “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중 단 한 권만 고르라고 하면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이라며 “4대 장편에서 전하려는 메시지가 모두 이 책에 있다. 2부까지 고려하고 쓴 1부이지만, 그 자체만으로 마스터피스”라고 극찬했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1880)은 도스토옙스키의 유작이다. 표도르 카라마조프의 아들 드미트리, 이반, 알렉세이가 주인공인 이 소설은 살인 사건을 둘러싼 법정물이면서 신과 인간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한국에서 도스토옙스키의 4대 장편을 모두 번역한 것은 김 박사가 최초. 이는 해외에서도 흔치 않은 일로, 러시아 정부는 러시아 문화 확산에 기여한 인물에게 주는 ‘푸시킨 메달’의 내년 후보로 그를 올렸다.
4대 장편 번역에 걸린 시간은 “편역본을 쓴 2년의 시간까지 포함해 약 10년”이다. 그는 “『죄와 벌』 출간 후엔 너무 힘들어 더 이상 못하겠다고 생각했다. 이번 작품까지 마치니 목과 허리, 손목 관절 이곳저곳이 쑤신다”고 했다. 김 박사가 번역해 낸 4대 장편은 가죽양장본 기준 죄와 벌(886쪽), 백치(1072쪽), 악령(1130쪽),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1373쪽)로 총 4461쪽에 달한다.
도스토옙스키를 ‘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김 박사는 자칭 ‘도스토옙스키 전도사’다. 18세에 처음으로 읽은 『죄와 벌』에서 주인공 소냐의 아버지이자 알코올 중독자인 마르멜라도프를 연민 어린 시선으로 그려낸 도스토옙스키의 태도에 충격을 받았다.
4대 장편을 번역하는 동안 김 박사는 도스토옙스키가 되려 노력했다. 출판사는 『죄와 벌』 출간 후 인지도가 높은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번역을 제안했지만 “발표된 순서대로 번역하며 작가의 생각, 사고의 결을 그대로 따라가고 싶어” 거절했다. 그는 더 많은 사람이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과 만나길 바란다며 “사랑과 연민의 중요성을 다루는 도스토옙스키의 메시지가 지금 현대에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