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도 국경통제 시작…흉악범죄에 반이민 정서 고조
난민 자경단 "정부 못 믿겠다…검문 제대로 하는지 감시"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폴란드가 독일의 '난민 밀어내기'에 반발해 7일(현지시간) 국경 통제를 시작했다. 이에 따라 독일과 폴란드 국경을 오갈 때 두 나라에서 이중 검문이 이뤄지고 있다.
dpa통신 등에 따르면 폴란드는 독일과 국경 52개 지점에서 이날 0시부터 불법 이민 단속에 들어갔다.
폴란드와 독일·리투아니아는 모두 솅겐조약 가입국이어서 이들 나라를 오갈 때 출입국 심사가 원칙적으로 면제된다. 그러나 독일이 먼저 내부 치안을 이유로 2023년부터 폴란드와 국경에 경찰관을 배치해 검문하기 시작했다.
독일은 지난해 9월 인접한 9개국 육상 국경 전체로 검문을 확대했다. 올해 5월 출범한 새 독일 정부가 폴란드에서 독일로 넘어가는 이민자를 일단 보호하지 않고 국경에서 곧바로 돌려보내기 시작하면서 양국 갈등이 더 깊어졌다.
폴란드는 이날 리투아니아와 국경에도 검문시설 13곳을 설치했다. 벨라루스가 서방 사회불안을 조장하려고 모집해 고의로 밀어내는 난민들의 주요 이동경로라는 이유에서다. 현지 매체들은 리투아니아 국경에서 검문을 시작하자마자 아프가니스탄 난민 4명을 태우고 에스토니아 국적자가 운전하는 차량이 적발됐다고 전했다.
폴란드 정부는 내달 5일까지 30일간 임시로 국경을 통제한다고 밝혔으나 연장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솅겐조약 가입국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 통보하면 유럽 내부 국경통제를 6개월씩 연장할 수 있다. 규정상 최장 3년이지만 통제 사유를 바꾸면 사실상 무기한 가능하다.
최근 독일이 떠넘기는 난민을 막는다며 자체 검문을 해온 폴란드 극우 세력은 당국의 국경통제를 신뢰할 수 없다며 자신들이 감시하겠다고 밝혔다. '국경방어운동'이라는 이름으로 난민 자경단을 꾸린 로베르트 봉키에비치는 "검문이 실제로 이뤄지는지, 아니면 정부가 보여주기식 쇼를 벌이는 건지 확인하기 위해 순찰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도날트 투스크 총리는 이날 공권력을 사칭하고 업무를 방해하면 벌금을 물리거나 체포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민족주의 야당 법과정의당(PiS)이 시민 자체 검문을 지원하는 데다 최근 이민자 강력범죄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반이민 정서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지난달 12일 폴란드 북부 토룬의 한 공원에서 19세 베네수엘라 국적자가 24세 여성에게 흉기를 휘둘렀다. 피해자는 병원 치료를 받다가 지난달 27일 숨졌다. 이달 5일에는 콜롬비아 이민자의 칼부림에 41세 남성이 사망했다. 민족주의 진영 단체들이 전날 토룬에서 연 추모집회에 약 1만명이 참가했다고 현지 매체들은 전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계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