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납북자가족, 대북전단 중단 선언…“대통령이 빨리 남북문제 풀어야”

중앙일보

2025.07.07 22:47 2025.07.07 22:4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지난해 10월부터 경기도 파주 임진각에서 대북전단 살포 행사를 했던 납북자가족모임이 8일 공식적으로 전단 살포를 전면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납북자가족모임은 이날 오전 11시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 한반도생태평화종합관광센터 2층 야외 쉼터에서 파주시와 공동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최성룡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는 “통일부 정동영 장관 후보자와 김남중 차관, 윤후덕 의원한테 직접 전화를 받았고 마음이 흔들렸다”며 “국민 여러분께 약속드린다. 오늘부로 납치된 가족 소식지 보내기를 전면 중단하겠다”고 말했다.
납북자가족모임은 8일 오전 11시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 한반도생태평화종합관광센터 2층 야외 쉼터에서 파주시와 공동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대북전단 살포를 전면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에는 최성룡 납북자가족모임 대표(오른쪽 세번째), 김경일 파주시장(네번째), 윤후덕(파주시갑)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두번째), 이종돈 경기도 안전관리실장(다섯번째), 납북 귀환자 등이 참석했다. 전익진 기자
최 대표는 “몇몇 전단 살포 단체들과 통화도 했다”며 “이재명 대통령이 정상회담이나 남북 대화를 빨리하기 위해서 대북전단 살포 중단을 같이 동참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성에서 비공개라도 이산가족과 국군 포로, 납북자들이 천륜의 아픔을 가진 가족과 만나게 되길 바란다. 이재명 정부는 가족들과 원활한 소통과 대화로 천륜의 한을 풀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납북자가족모임은 지난해 10월 파주 임진각에서 1970년대 북한 공작원에 의해 납치된 고교생 등 전후 납북자 피해 문제를 남북 양측에 알리기 위해 전단 살포를 재기하기 시작했다. 이 단체는 2008년부터 대북 전단을 날려왔으나 2013년 당시 박근혜 정부와 여권의 요청으로 자발적으로 중단했다가 10여 년 만에 다시 공개 살포에 나섰다. 지난해 10월과 올해 4월 두 차례 임진각에서 공개 살포 행사를 진행했지만 경기도 특별사법경찰과 접경지역 주민들, 시민단체 등의 반발로 무산됐다. 이에 비공개로 전환해 올해 4월 27일 파주 임진각, 5월 8일 강원 철원군, 6월 2일 파주 접경지에서 각각 대북전단을 날린 바 있다.
8일 오전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에서 최성룡 납북자가족모임 대표가 기자회견을 열고 대북 전단 살포 중단을 공식 선언한 뒤 김경일 파주시장(왼쪽)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경일 파주시장과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파주시갑), 이종돈 경기도 안전관리실장, 납북 귀환자 등이 참석했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파주 시민들은 지난 1년여간 대북전단과 오물 풍선, 대북·대남방송으로 고통받아 왔다”며 “납북자가족모임에서 전단 살포 중단을 공식 선언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고 말했다. 김 시장은 “다른 단체에서도 접경지역의 평화와 안정이 항구적으로 유지되도록 납북자 가족의 결단에 동참해 주시길 부탁드린다”며 “남북 간 대화를 통해 납북된 가족의 생사 확인 및 송환 문제가 조속히 해결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덧붙였다.

윤후덕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과 통일부 장관에게 납북자 가족이 호소한 말씀은 제가 책임지고 전달하겠다”며 “대북전단 살포 중단 선언은 한반도 긴장 완화를 이끄는 의미 있는 변화의 시그널일 것”이라고 말했다.



접경지 주민들 환영…“남북 긴장 상황 완화 기대”

파주 접경지 주민들은 환영했다. 지난해 10월과 올해 4월 두 차례 주민들과 트랙터를 동원해 대북전단 살포를 저지했던 이완배 통일촌 이장은 “오늘 납북자가족모임 측의 대북전단 살포 중단 공개 선언으로 접경지의 남북 간 긴장 상황이 완화되고 북한의 확성기 소음 방송도 재개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안도한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이 단체 외에도 그동안 대북전단을 날려온 여러 단체가 있는 만큼 이들 단체도 납북자가족모임의 희망처럼 접경지역의 안보를 위협하는 대북전단 살포를 중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익진.최모란.이경은([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