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함도 투표전 승리에도 '침묵 모드' 日…논란 피하려는 듯
외무상 등 유네스코 군함도 논의 건 전혀 언급 안해
(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군함도 약속' 이행 여부를 점검하려 한 한국 정부의 시도를 무산시킨 데 대해 8일 특별한 입장을 내지 않고 침묵으로 일관했다.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은 이날 오후 약 19분간 정례 기자회견을 했으나 유네스코 군함도 논의 건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모두 발언에서는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 등 참석을 위한 말레이시아 출장, 아니타 아난드 캐나다 외교장관의 방일 일정 등 4가지만 설명했다.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도 오전 기자회견 때 역시 군함도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지 않았다.
외무성을 비롯한 일본 정부 부처는 자신들의 입장에서는 '외교 성과'일 수도 있는 유네스코 투표전 승리 결과를 보도자료로 배포하지도 않았다.
이에 따라 일본 언론에서도 관련 사안은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
앞서 7일 오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는 한국 정부 요구로 군함도 등 메이지 산업유산 관련 '위원회 결정의 이행 상황에 대한 평가' 안건의 정식 채택 여부가 논의됐다.
일본은 위원회보다는 양자 차원에서 논의돼야 할 문제라고 반대 입장을 보이며 해당 안건이 삭제된 '수정안'을 제출했고, 한국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표결을 요청했다.
투표 결과 일본의 수정안이 과반수 찬성(찬성 7·반대 3·기권 8·무효 3)으로 채택됐다.
결국 향후 유네스코 차원에서 군함도 관련 사안을 제기하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군함도는 일본이 2015년 7월 세계문화유산으로 올린 산업혁명유산의 하나다.
일본 정부는 등재 당시 조선인 강제동원에 대해 설명하겠다고 공개 약속했지만,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한국 정부의 지적을 받으면서 여러 차례 수세에 몰린 바 있다.
그러나 이번에 초유의 투표전에서 이겨 유리한 위치를 차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럼에도 일본 정부가 침묵으로 일관하는 것은 이 문제가 주목받으면 좋을 것이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일본 정부는 군함도를 세계유산에 등재하면서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는 약속에 따라 2020년 도쿄 도심에 산업유산정보센터를 개관했지만 극히 폐쇄적으로 운영해왔다.
개관 이후 예약제를 채택해 현재는 하루 관람객 40명만 받고 있을 정도다.
한 외교 당국자는 "일본 정부는 군함도에 대해서는 가급적 주목 받지 않으려는 전략을 취해왔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경수현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