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품에 각종 관세를 매기기 시작하면서 독일의 대미 수출이 3년 2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줄었다.
8일(현지시간) 독일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대미 수출액은 121억유로(19조5천억원)로 2022년 3월 119억유로(19조1천억원) 이후 가장 적었다.
5월 대미 수출액은 전월 대비 7.7%, 작년 5월에 비하면 13.8% 감소했다. 올해 4월에도 대미 수출액이 전월 대비 10.5% 감소한 바 있다. 수입액 역시 한 달 사이 10.7% 감소한 74억유로(11조9천억원)로 집계됐다.
최대 교역국인 미국으로 수출이 둔화하면서 전체 수출액도 1천294억유로(208조원)로 전월 대비 1.4% 줄었다.
독일은 관세 부과 직전 주문이 몰리면서 올해 1분기 미국에 412억유로(66조2천억원)어치를 수출해 177억유로(28조5천억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올렸다. 자동차 부문 흑자가 78억유로(12조5천억원)로 거의 절반이었다.
그러나 4월부터 기본관세 10%에 자동차와 부품 25%, 철강·알루미늄 50% 등 여러 가지 관세가 붙으면서 수출이 급감했다.
유럽연합(EU)은 품목관세가 적용되는 자동차, 철강을 비롯해 항공기 등 주력 부문을 놓고 미국과 관세율을 협상 중이다. 모든 국가에 적용되는 10% 기본관세를 받아들이되 항공기와 와인, 주류 등은 면제를 요구하는 걸로 알려졌다.
폴리티코 유럽판은 미국이 EU에 항공기와 주류 등은 예외로 두고 기본관세 10%를 유지하고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EU가 요청한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제약 부문은 관세를 면제해주겠다는 신호를 보내지 않았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EU는 미국에서 다른 나라로 자동차를 수출하는 유럽 업체들에 25%보다 낮은 관세율을 적용하는 등 기존 품목관세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찾는 걸로 전해졌다. 독일 업계는 자신들이 미국 공장에서 수출용으로 생산하는 자동차가 미국의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한다며 그만큼 관세를 깎아달라고 요구해 왔다. 미국은 지난 5월 영국과 무역합의에서 자동차 10만대에 한해 25% 대신 10%의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한 바 있다.
EU 당국자들은 오는 9일까지 원칙적 합의를 목표로 한다거나 상호관세율을 새로 책정한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을 받지 않을 것이라면서 조만간 합의가 이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계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