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총장 출신인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연구윤리 위반 의혹이 커지고 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어제 이 후보자의 제자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주 의원이 이 후보자의 논문과 제자의 논문을 비교하면서 표시한 부분을 보면 문장과 수식 등에서 같은 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자 논문에는 ‘10m 정도’라고 쓴 부분을 이 후보자 논문에선 ‘10m wjd도’라고 오타를 내기도 했다. 주 의원은 “표절 후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런 의혹이 사실이라면 교육부 장관으로서 적격성을 따지기에 앞서 학자로서 부끄러울 정도로 연구윤리를 위반한 것이다.
다른 논문에서도 이 후보자는 제자의 연구 성과를 가로채거나 자신의 논문을 부당하게 중복 게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가 이 후보자에 대해 “충분한 해명을 할 수 없다면 스스로 사퇴해야 한다”고 요구했을 정도다. 만일 자신을 둘러싼 의혹이 사실과 다르다면 성실히 해명할 의무가 있다. 무작정 “청문회에서 답하겠다”는 식으로 시간을 끌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행여 국회 다수 의석을 차지한 여당을 믿고 국회 인사청문회 하루만 버티면 된다는 계산이라면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이 후보자가 공교육 정상화를 이끌어야 할 교육부 장관으로서 충분한 자질을 갖췄는지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은 지난달 29일 장관 인선 브리핑에서 이 후보자를 “대통령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 추진위원장을 맡았다”고 소개했다. 하지만 이 후보자가 대학을 제외한 유치원과 초·중·고교 교육 정책에 대해선 면밀하게 고민한 흔적이 잘 보이지 않는다. 이 후보자가 두 딸을 중·고교 시절부터 미국에서 조기 유학시켰다는 지적도 나왔다. 자녀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지는 개인 선택의 영역이지만,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서 공교육에 대한 고민을 기대할 수 있겠느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다른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의혹도 끊이지 않는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남편이 소유한 강원도 평창군 농지에 대해 농지법 위반 의혹을 받고 있다. 인천의 병원에서 의사로 근무하는 남편이 평창군까지 먼 길을 오가며 농사를 지었다는 것부터가 매우 의심스럽다. 평창군에 따르면 다른 사람이 이 땅에서 농사를 지었다며 네 차례에 걸쳐 정부 보조금인 직불금을 받아갔다고 한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겐 국회의원 재산신고를 할 때 배우자의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을 빠뜨렸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각종 의혹이 불거진 장관 후보자들은 청문회로 미루지 말고 당장 납득할 만한 해명을 내놓든지, 그럴 자신이 없다면 스스로 거취를 결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