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사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과거 두 딸을 미국에 조기 유학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 후보자가 차녀를 유학 보내는 과정에서 의무교육 규정을 어겼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이 후보자는 지난 대선 기간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에서 ‘서울대 10개 만들기’ 추진 위원장을 맡는 등 이 대통령의 핵심 교육 공약을 주도했다고 평가받는다. 그런 이 후보자가 두 자녀를 모두 유학 보낸 사실이 알려지고, 위법 논란까지 일자 국민의힘 측에선 “국내 교육 정책을 총괄할 교육부 수장으로 부적절하다”고 공세를 폈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실에 따르면 이 후보자 차녀 A(33)씨는 2007년 미국에 조기 유학했다. 김 의원실에 따르면 A씨는 중학교 3학년 1학기를 마치고 미국 9학년(중학교 3학년에 해당)에 진학했다고 한다. A씨는 고등학교 1학년 재학 중 미국으로 먼저 건너간 언니 B(34)씨와 같은 기숙형 학교에 다녔다.
문제는 중학교가 의무교육이라는 점이다. 현행 초·중등교육법에 따르면 국민은 자녀 또는 보호하는 아동이 중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다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중학생까지 자비 해외유학이 인정되지 않는 건 이 때문이다.
다만 부모가 함께 외국으로 출국해 자녀가 따라가야 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국외유학규정에 따라 중학생의 유학도 인정된다. 하지만 이 후보자와 남편은 차녀 A씨가 유학 간 2007년 당시 국내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후보자는 2007~2008년 충남대 건축공학교육과 교수로 재직했고, 국토교통부, 지식경제부 등 중앙부처 위원회에서 위원으로 활동했다. 남편 역시 청주대 교수로 근무했다.
김민전 의원은 “국내 초·중등 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보이지 않는 이 후보자가 교육부 장관으로서 역량을 갖췄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향후 청문회에서 제기된 의혹에 소상히 해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정부 첫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 후보자는 전국 9개 거점국립대 최초로 여성 총장(충남대 총장)을 지냈다. 하지만 앞서 논문 중복 게재와 제자 논문 가로채기(표절) 의혹이 불거졌고 국민의힘 측은 “이 후보자의 연구 윤리 위반 의혹은 범죄 수준”이라고 공세를 폈다. 여기에 자녀 조기 유학 및 위법 논란이 더해지면서 야당의 사퇴 요구는 거세지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오는 16일 청문회에서 논문 표절 및 조기 유학 위법 논란을 철저하게 캐물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중앙일보는 이 후보자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전화했지만 받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