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관세 분쟁 여파로 韓日-美 이격할지 촉각…기대난 지적도
"美와 韓日 무역 긴장 사태, 한중일 3자협력 강화 기회 제공"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에 25%의 상호관세 부과 의지를 담은 서한을 보낸 가운데 이를 계기로 한일 양국이 미국과 거리를 벌리고 중국과 가까워질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9일 보도했다.
SCMP는 우선 분석가들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이런 무역 긴장 사태가 중국으로선 도쿄·서울과의 3자 협력을 강화할 기회를 제공한다"고 짚었다.
장 윈 난징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현재 한국과 일본의 지도자들이 실용적이고 이념에 치우치지 않는 스타일로 중국과 안정적 관계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한일 양국과의 경제협력을 촉진할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으로 내다봤다.
장 교수는 이어 "연내 일본에서 열리는 (한중일) 3국 정상회담과 10월 서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그리고 내년 베이징 APEC 등을 계기로 3국 관계를 강화할 유리한 기회를 맞았다"고 분석했다.
미국 현지 시각으로 지난 7일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제품에 25% 관세(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이를 자동차, 철강·알루미늄 등에 이미 부과된 품목별 관세와 별개로 운용하겠다는 서한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 한일 양국을 자극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서한 발송은 주요 동맹인 한국과 일본을 주요 표적 삼은 것으로, '충격 요법'으로 판을 세게 흔든 뒤 그 여세를 몰아 다른 나라들과의 협상 동력으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담겼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중국 내에선 동맹에 대한 배려는 조금도 찾아볼 수 없는 트럼프 미 대통령의 강공에 맞서 한일 양국이 대안 마련 차원에서 중국과의 협력을 모색할 수도 있다고 보고 반기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장 교수는 그러나 "(미국과의 고율 상호관세 갈등으로) 한중일 3국 관계가 이전보다 가까워질 수 있지만, 한일 양국은 미국과의 동맹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SCMP는 "한일 양국은 조 바이든 미 행정부 때부터 중국-러시아-북한의 위협에 대응한다는 명분으로 협력 체제를 구축해왔으며 중국의 부상을 견제해왔다"면서도, "최근 한국과 일본은 (트럼프 대통령으로 인한) 미국의 불확실성에 대응할 목적으로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해왔다"고 분석했다.
일본 국제기독대학의 스티븐 나기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고율 관세 부과 갈등을 계기로 중국이 한일 양국에 더 많은 협력 유인책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중 관계 전문가인 마 보 난징대 교수는 "한일 양국은 최근 몇 년 새 안보 문제와 관련해 중국과는 더 거리를 벌리고 있다"면서 "관세 분쟁에도 불구하고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겨냥한 한미일 집단 안보협력이 약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