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3월과 5월 동해와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표류해 남측으로 넘어온 북한 주민 6명을 해상을 통해 송환했다고 9일 밝혔다.
통일부는 이날 “해당 주민들이 애초 표류 당시 탑승했던 목선을 이용해 북방한계선을 넘어 북한 해역으로 복귀했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 주민들을 태운 선박은 오전 8시 56분쯤 동해 NLL을 넘었고, 9시 24분쯤 예인용으로 추정되는 북측 대형 어선 1척 및 경비정 1척과 만났다.
통일부 당국자는 “송환 시점에 북한 경비정이 인계 지점에 나와 있었고 북한 측 선박이 자력으로 귀환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북한 주민 2명은 지난 3월 7일 서해상에서, 4명은 지난 5월 27일 동해상에서 표류하다 각각 구조됐다. 이들은 정부 당국의 조사 초기부터 북한 귀환 의사를 강력히 밝혔지만 돌아가는 데 최대 넉 달이 걸렸다.
서해에서 구조된 선박은 기관 고장으로 인해 자력 운항이 불가능했지만, 동해에서 표류한 선박은 점검 결과 운항이 가능한 상태였다. 이에 정부는 북한 주민 전원의 동의를 받아 서해 표류 주민 2명을 포함한 6명을 동해 구조 선박에 태워 함께 송환했다.
이 당국자는 “통일부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북한 주민들을 송환한다는 입장 아래 관계기관과 협력해 송환에 노력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송환 과정에서 귀환에 대한 북한 주민의 자유의사를 여러 차례 확인하고, 관계기관과 협력해 송환 전까지 북한 주민들을 안전하게 보호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