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디플레 우려' 6월 생산자물가 23개월만에 최대 하락률(종합)
PPI, 전년 동월 대비 3.6% 내려…CPI는 5개월 만에 플러스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5개월 만에 상승했지만, 생산자물가지수(PPI)는 23개월 만에 최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6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0.1% 올랐다.
이는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0.1%)보다 높은 것으로 당국의 소비 촉진 보조금 등이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의 CPI 변동률(전년 동월 대비)을 보면 당국의 내수 촉진 정책 발표와 춘제(중국 설)가 겹친 올해 1월 0.5% 올랐으나 이후 2월 0.7% 내린 뒤 3∼5월 연속 0.1% 하락을 기록한 바 있다.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3.6% 내리며 3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는 5월(-3.3%)은 물론 블룸버그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3.2%)보다 하락 폭이 큰 것이며 2023년 7월(-4.4%) 이후 최대 하락률이다.
국가통계국 수석 통계전문가 둥리쥐안은 PPI 하락 요인과 관련, 날씨 때문에 건설업과 원자재 물가가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가운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여전히 약한 만큼 중국 정부가 물가·기업이익·임금 등이 하락하는 악순환을 피하기 위해 부양책을 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중국에서는 디플레이션 상황에서 기업들의 가격경쟁이 심해지고 있으며, 최근 시진핑 국가 주석이 주재한 회의에서 이러한 관행에 대한 비판이 나온 바 있다.
하지만 지방 정부가 실업률 상승을 막으려 하는 만큼 과잉생산과 가격경쟁이 몇 년간 이어질 것으로 보는 시장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