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외교장관회의 등서 미국 일방적 관세 통보에 우려 나타낼듯
아시아 첫 방문 루비오 美국무 메시지 주목…한국은 외교 1차관 참석
아세안·미중 외교수장, 말레이 집결…'트럼프 관세' 등 논의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등서 미국 일방적 관세 통보에 우려 나타낼듯
아시아 첫 방문 루비오 美국무 메시지 주목…한국은 외교 1차관 참석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요국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회원국 외교 수장들이 말레이시아에 모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 지역 현안 논의에 들어갔다.
아세안은 9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본 행사를 개막했다. 이어 오는 10∼11일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 아세안 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를 잇따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아세안 10개국 외교장관들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등이 참석한다.
회의에서는 우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가장 큰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시간 7일 한국 등 14개국에 서한을 보내 내달 1일부터 25∼40%의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
14개국 중 아세안 회원국이 태국(관세율 36%), 인도네시아(32%), 말레이시아(25%), 캄보디아(36%), 라오스(40%), 미얀마(40%) 등 6개국에 이른다.
또 아세안 회원국은 아니지만 회의에 참석하는 한국과 일본도 각각 25%의 상호관세 부과를 통보받았다.
아세안 외교장관들은 현재 여러 회원국이 미국과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인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관세 부과를 통보한 것과 관련해 함께 우려의 뜻을 나타낼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에 따르면 이들 장관은 공동 성명 초안에서 "우리는 세계 무역 긴장 고조와 국제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 증가, 특히 관세 관련 일방적 조치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미국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관세가 "역효과를 낳고 세계 경제 분열을 심화시킬 위험이 있으며, 아세안의 경제 안정·성장에 복잡한 문제를 야기한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브릭스(BRICS) 회원국에 관세 10%를 추가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것도 관세 이슈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아세안에서 인도네시아는 브릭스 회원국이며, 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은 파트너 국가로 참여하고 있다. 브릭스를 주도하는 중국과 러시아도 이번 회의에 참여한다.
따라서 취임 이후 이번에 아시아를 처음 방문하는 루비오 장관이 아세안과 다른 주요국 상대로 관세 문제에 대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한 국무부 고위 관리는 루비오 장관이 회의에서 관세에 대한 백악관의 메시지를 되풀이하면서 아세안에 무역 관계의 "균형을 다시 잡을" 필요성을 옹호할 것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에 전했다.
태미 브루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국무장관으로서 첫 아시아 방문에서 루비오 장관은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안전한 인도·태평양 지역을 진전시킨다는 미국의 약속을 재확인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방문 목적을 설명했다.
또 최근 악화한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도 이번 행사에서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
태국과 캄보디아는 국경 지역에서 교전에 이어 국경 통행·무역 통제 강화 등의 행동을 주고받으며 긴장 수위를 높이고 있다.
게다가 이 문제와 관련한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와 훈 센 캄보디아 상원의장의 통화 내용이 공개된 여파로 패통탄 총리의 직무가 정지되는 등 태국 정치 혼란이 심해지고 있다.
이 밖에 아세안의 단골 의제인 중국과 인접 국가 간의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문제, 만 4년 반째 계속돼온 미얀마 내전 등도 논의될 예정이다.
한편, 한국은 장관 임명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은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를 대신해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이 이번에 대표로 참석한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진형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