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용인, 조은정 기자]7일 경기 용인시 용인 미르 스타디움에서 2025 동아시아 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대한민국 남자 축구 대표팀과 중국의 개막전이 열렸다.한국은 중국과 첫 경기를 시작으로 11일 홍콩, 15일 일본과 격돌한다. 경기는 모두 용인에서 치러지며 3경기 성적에 따라 그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전반 한국 이동경에 파울을 범한 중국이 옐로 카드를 받고 있다. 2025.07.07 /[email protected]
[OSEN=용인, 조은정 기자]7일 경기 용인시 용인 미르 스타디움에서 2025 동아시아 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대한민국 남자 축구 대표팀과 중국의 개막전이 열렸다.한국은 중국과 첫 경기를 시작으로 11일 홍콩, 15일 일본과 격돌한다. 경기는 모두 용인에서 치러지며 3경기 성적에 따라 그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전반 한국 이동경이 중국의 수비를 받고 있다. 2025.07.07 /[email protected]
[OSEN=우충원 기자] 중국이 망신을 당했다. 물론 앞으로 더 큰 망신을 당할 가능성이 남았다. 일본전을 앞두고 있기 때문.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은 7일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개막전에서 중국을 3-0으로 완파했다. 이날 승리로 한국은 11일 예정된 홍콩과의 2차전을 앞두고 조 선두 굳히기에 나설 수 있는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
이번 경기에서는 주장 손흥민이 빠졌음에도 전혀 흔들림이 없었다. 오히려 대표팀은 짜임새 있는 조직력과 빠른 전환 플레이로 시종일관 주도권을 쥐었고, 이동경의 정확한 중거리 슈팅으로 선제골을 터뜨린 뒤 주민규와 김주성의 연속 득점이 이어지며 일찌감치 승부를 갈랐다.
반면 데얀 주르예비치 감독이 처음으로 지휘봉을 잡은 중국은 경기력 부문에서 완전히 밀리며 충격적인 대패를 안았다. 특히 한국을 상대로 연령별 대표팀을 이끈 경험이 있었던 주르예비치 감독은 경기 전까지 자신감을 드러냈지만 결과는 참혹했다.
중국 현지 분위기도 급격히 냉각됐다. 경기 전까지만 해도 “손흥민이 빠진 한국은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에 찼던 중국 언론은 경기 종료와 동시에 완전히 태도를 바꿨다.
소후닷컴은 “중국은 결국 예고된 패배를 당했다. 20년 전과 달라진 것이 없는 중국 축구의 현실이 그대로 드러났다”며 뼈아픈 비판을 쏟아냈다.
시나스포츠는 중국의 처참한 경기력에 대해 “그 핵심 원인은 중국 슈퍼리그(CSL)의 낮은 수준에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은 해외파 없이도 2군 혹은 3군에 가까운 전력을 구성했지만 중국은 사실상 최정예 멤버로 나섰다. 그럼에도 결과는 변하지 않았다. 이는 곧 중국 리그의 경쟁력이 K리그, J리그와 비교해 지나치게 뒤처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또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외국인 선수들의 활약으로 어느 정도 격차를 줄일 수 있었지만 동아시안컵은 자국 리그 소속 선수들만 출전할 수 있는 대회”라며 “결국 리그 수준의 차이가 그대로 경기력으로 직결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시나스포츠는 CSL이 수년간 리그 강도, 대인 마크, 경기 템포 등 거의 모든 측면에서 K리그, J리그에 밀려왔다며 이번 패배는 단순한 결과가 아닌 구조적 한계를 다시금 드러낸 사례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경기 초반부터 중국은 압도당했다. 시나스포츠는는 “경기 시작 20분 만에 한국이 2-0으로 앞서며 손쉽게 주도권을 가져갔다. 중국 선수들은 그 시점부터 이미 체력 고갈 조짐을 보였다”고 비판했다.
이어 “평소 리그에서는 활기찬 플레이를 펼치던 선수들이 국제 무대에서 20분도 강한 템포를 소화하지 못하는 장면이 반복됐다. 쥐가 나는 장면들이 속출한 것 역시 경기력의 기본 체계가 뒤처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전했다.
또한 “물론 경기 당일의 더위가 체력에 영향을 줬을 수는 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수준 차이가 존재했다”고 강조하며 리그 구조 전반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를 덧붙였다.
이번 동아시안컵에서 중국은 한국에 0-3으로 패하며 다시 한 번 아시아 축구 내 위계를 확인했다. 수년째 이어지는 중국 축구의 침체는 단순히 성인 대표팀의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그 밑바탕인 리그 시스템과 선수 육성 구조의 약세가 반복된 패배로 이어지고 있다. /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