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낮 최고기온이 37.8도를 넘으며, 1907년 기상관측 이래 7월 초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폭염이 이어지자 서울시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서울시는 9일 ‘긴급 폭염 대책 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열린 긴급회의에는 3명의 부시장을 비롯해 재난안전실장 등 12개 실·국장이 모두 참석했다. 해외 출장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은 전화로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특단의 폭염 대책을 가동하라”고 지시했다.
서울시 긴급 폭염대책 상황 점검 회의
질병관리청 ‘온열 질환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감시체계 운영을 시작한 5월 15일부터 7일까지 서울 지역 온열 질환자는 사망자 1인을 포함해 총 85명이다. 서울시는 위기 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하고, 폭염종합지원상황실 대응 단계도 1단계에서 2단계로 상향한 상황이다.
추가 인명 피해를 막기 위해 서울시는 소방·의료·구호 전 분야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한다. 161개 119폭염구급대와 119개 펌뷸런스를 온열 질환자 구조에 투입한다. 펌뷸런스란 소방펌프차(pump)와 구급차(ambulance)의 합성어다. 이들은 온열 질환자 발생 시 70여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나 자치구 보건소로 이동한다.
폭염 취약계층도 밀착 보호에 나선다. 3만 9000여명의 취약계층 노인에게 전화하거나 직접 방문해 정기적으로 안부를 확인한다. 3751개 무더위쉼터의 냉방기 가동 여부도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폐지수집 노인 3100여명에게 쿨토시·쿨타월 등 폭염 대응 물품을 지급하고,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 아리수 냉장고를 설치해 매일 1000병의 냉장 아리수를 제공한다. 노숙인 피해 예방을 위해선 ‘혹서기 응급구호반’ 52개조 123명이 서울역 등 노숙인 밀집 지역을 하루 4회 이상 순찰한다.
쪽방촌 주민을 위한 무더위쉼터 7개소와 밤더위대피소 6개소도 9월까지 개방하고 공용 에어컨 전기요금도 최대 30만원 지원한다. 와상·사지마비 등 최중증 독거 장애인 200명에겐 야간 순회 활동을 통해 건강 상태를 확인할 예정이다.
더불어 저소득·주거 취약계층 389가구에 선풍기·쿨매트 등 냉방용품 긴급 지원을 완료했다. 7~8월 중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등 약 38만9000가구에 가구당 5만원의 냉방비도 지원한다.
취약계층 밀착 보호, 공사장 현장 점검
폭염에 직접 노출돼 온열 질환에 발생 가능성이 높은 건설공사장 근로자를 위한 대책도 나왔다. 서울시 발주 공사장과 자치구·공사·출연기관 등에 ‘온열 질환 예방 5대 기본수칙’을 전파한다. 5대 기본수칙은 ▶물 ▶바람·그늘 ▶휴식 ▶보냉장구 ▶응급조치 등이다.
동시에 7~8월 중 서울시 중대재해감시단이 시내 공공·민간 건설공사장 300여개소를 대상으로 수칙 이행 여부를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민간 공사장의 산업안전보건법령 등 준수사항을 위반할 경우 고용노동부 등 관계기관에 통보해 작업 중지 등 행정처분을 할 예정이다.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공사장 특성을 반영해 다국어 홍보물·현수막도 배포한다.
이외에도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6개 휴서울쉼터와 6개 간이쉼터를 운영하고, 생수 10만병을 서울 시내 31개 노동자 시설에 비치해한다.
도심 열섬 현상 완화를 위해 도로의 온도를 낮추는 물 청소차 운영도 강화한다. 폭염 특보 시 일 3~6회 운영하던 청소차를 일 최대 8회까지 확대 운영한다. 이를 위해 25개 자치구에 민간살수차 투입을 위한 재난관리기금 12억4000만원을 긴급 지원한다.
현재 3.5㎞(13개소) 구간에서 운영 중인 쿨링 로드(cooling road·도로에 물을 뿜어 노면 온도를 떨어뜨리는 장치)도 광화문~청계광장, 시청역~숭례문 구간에 신규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