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등 주요 무역대상국에 부과하려던 상호관세의 발효 시점을 오는 8월 1일로 일괄 연기한 것은 무역 협상을 위한 시간을 더 확보하자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등 참모진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은 시간을 더 들이면 무역 합의가 가능할 것이라는 베센트 장관 등 당국자들의 설명을 들은 뒤 관세 부과 시점을 미루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주말이었던 지난 5∼6일 뉴저지주 자택 골프클럽에서 참모들과 전화 통화 및 비공개 논의를 거쳐 관세 방안을 검토했다.
당시 그는 상호관세 적용일을 새로 정할지, 아니면 시점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채 관세율만 기재한 서한을 보낼지를 놓고 고심하고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때 협상보다 즉각적인 관세 부과에 무게를 두기도 했지만 "일부 합의가 가까워졌지만,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베센트 장관의 설명에 따라 입장을 선회했다.
베센트 장관은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했을 당시 각국에 90일 유예를 이끌어낸 인물이기도 하다.
관세 적용 시점이 다가오던 가운데 베센트 장관을 비롯한 참모들은 인도와 유럽연합(EU) 등 주요 무역 상대국과의 협상에서 일정한 진전을 이뤘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막판 양보를 이끌어내기 위한 협상 전략의 일환으로 관세 관련 서한을 발송하고 협상 기한을 연장한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상호관세는 애초 9일부터 적용될 예정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국, 일본 등 14개국에 서한을 보내 발효 시점을 8월 1일로 늦추고 각국에 적용될 상호관세율을 통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