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제자 논문 표절 의혹에 이어 자녀 조기유학 과정에서 초·중등교육법을 위반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더불어민주당 안에서도 불편한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한 민주당 의원은 9일 통화에서 이 후보자의 자녀 조기유학 관련 의혹에 대해 “다른 곳도 아니고 교육부 장관 후보자라 아쉬움이 크다”며 “국민 여론 중요한 만큼, 국민의 감정이 얼마만큼 받아들여 줄지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여당 교육위원도 “검증 과정을 지켜봐야겠지만, 조기유학 문제는 국민 정서와 상당히 다른 부분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2007년 중학교 3학년 1학기를 마친 차녀를 미국으로 유학보냈다. 당시 초·중등교육법 하위 법령인 ‘국외 유학에 관한 규정’은 중졸 이상 학력자에게만 자비유학 자격을 부여하면서, 부모 모두 해외에 1년 이상 거주하고 초·중등생 자녀는 동거 목적으로 출국하면 합법으로 인정해줬다. 당시 이 후보자와 남편은 각각 충남대와 청주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국내에 머물렀다.
제자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서도 한 여당 교육위원은 “논문 표절은 전문성에 관한 것이라 속단하기는 이르다”면서도 “김건희 논문에 대해 표절 문제를 거론한 입장에서 우리 편이라고 해서 방기한다면 앞뒤가 다른 행동”이라고 말했다. 해당 의혹은 충남대 건축공학과 교수인 이 후보자가 제자의 석·박사 학위 논문 10여편 중 일부를 자신이 제1저자인 논문에 그대로 요약해 학술지에 발표했다는 게 핵심이다.
다만, 민주당은 이 후보자의 중도 낙마 가능성에 대해선 선을 긋고 있다. 문진석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제기된 의혹이 김건희 정도의 수준은 아니잖느냐”며 “교육위 소속 의원들로부터 이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통해 설명이 가능하다는 취지로 전해들었다”고 말했다. 민주당 교육위 관계자도 “사실관계와 자료를 검토해볼수록 심각한 우려까지는 아닌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 후보자가 청문회 때 구체적으로 이야기한다고 하니까 지금 섣불리 판단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결국 이 후보자의 적격 여부는 그가 7월 16일로 예정된 인사청문회에서 내놓을 답변에 따라 갈릴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의 한 재선 의원은 “기본적으로 여당이라 어떻게든 임명이 될 수 있게끔 방향은 잡고 가겠지만, 이 후보자가 어떤 답변을 하느냐에 따라 국민이 교육부 장관으로 적합한지를 판단할 것”이라며 “그 여론을 받아들일지는 대통령이 판단할 영역”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교육부 인사청문회 준비단을 통해 자녀 조기유학 관련 의혹에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것으로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