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방미 협상단 귀국…상호관세 협상시간 벌었지만 美압박은 여전

연합뉴스

2025.07.09 16: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위성락 이어 여한구도 돌아가…정부, 차기 협상 전략 수립할 듯
방미 협상단 귀국…상호관세 협상시간 벌었지만 美압박은 여전
위성락 이어 여한구도 돌아가…정부, 차기 협상 전략 수립할 듯

(워싱턴=연합뉴스) 박성민 김동현 특파원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압박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미국을 방문했던 정부 협상단이 일정을 마무리하고 9일(현지시간) 귀국길에 올랐다.
정부 당국자에 따르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오전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을 다시 만난 뒤 워싱턴DC를 떠나 한국으로 출국했다.
박정성 무역투자실장을 비롯한 실무진도 같이 떠났다.
여 본부장은 지난 5일 워싱턴DC에 도착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를 만났고, 지난 7일에는 러트닉 상무부 장관을 면담했다.
여 본부장은 이들 면담에서 미국이 당초 7월 9일부터 부과하겠다고 한 25% 상호관세의 유예 연장과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의 인하를 요청했다.
당초 협상단은 상호관세 부과가 임박한 상황에서 귀국 계획을 잡지 않고 막판 협상을 이어가겠다는 각오로 미국을 찾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7일 모든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 발효를 오는 8월 1일로 재차 연기함에 따라 일단은 협상 시간을 벌게 됐다.
다만 상호관세는 원래 발표했던 25%가 그대로 유지됐고, 한국의 대미 수출 주력 품목인 자동차와 철강 등에 부과된 품목별 관세의 인하도 현재로서는 쉽지 않아 보이는 상황이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백악관 내각 회의에서 주한미군 주둔비용 증액을 공개적으로 요구하면서 통상을 방위비 등 안보 이슈와 묶어 이른바 '원스톱' 협상을 원한다는 의중을 내비친 터라서 통상을 총괄하는 여 본부장 혼자 미국에 남아 협상을 더 진전시킬 수 있는 여지도 줄었다.
관세 협상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6일 워싱턴DC를 방문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대화 상대인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의 협의를 마치고 전날 하루 먼저 귀국했다.
이에 따라 향후 정부는 여 본부장과 위 실장의 방미 협의를 통해 파악한 미국의 입장을 분석한 뒤 통상과 안보 현안을 연계한 협상 패키지와 전략을 준비해 미국과 재차 협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동현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