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AI 데이터센터 30여곳에 엔비디아 칩 11만개 투입 계획"
블룸버그 "우회 확보 의심되지만, 막대한 규모 밀수망 존재 가능성 의문"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올해 딥시크의 성공을 계기로 '인공지능(AI) 굴기'에 박차를 가하는 중국이 서부 사막지대에 대형 데이터센터 건설을 추진하면서 엔비디아의 칩을 대량으로 수입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첨단 칩 수출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엔비디아의 칩을 실제로 확보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블룸버그통신은 투자 승인서와 입찰 서류, 기업 공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중국 서부 고비사막을 포함한 전역에 지어질 데이터센터 30여곳에 엔비디아의 AI 칩 11만5천개 이상이 투입될 계획이라고 지난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장위구르자치구 고비사막 외곽인 이우현에서 실제 데이터센터 건설이 한창 진행 중인 것을 블룸버그는 확인했으며, 이곳이 성공적으로 가동에 들어간다면 딥시크 등 중국의 대형언어모델(LLM) 훈련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첨단 칩들에 대한 대(對)중국 수출을 제한한 가운데 중국이 어떻게 막대한 양의 칩을 확보할 것인지다.
중국이 사들이고 싶어 하는 엔비디아의 최첨단 칩은 H100과 H200으로, 밀수 가격을 기준으로 하면 11만5천개를 확보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수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이 허가하지 않는 한 정상적인 수급은 불가능한 상황인 데다, 워낙에 필요한 규모가 커서 수입 경로를 우회한다는 것도 쉽지는 않아 보인다.
미 의회는 엔비디아 최첨단 칩의 대중국 수출 우회 경로 제공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 등 11개국에 대한 조사에 나선 상태다.
중국 정보통신기업 화웨이가 최근 독자 개발한 칩을 출시하는 등 미국의 기술 수준을 따라잡으려고 부단히 애를 쓰고는 있지만, 아직은 미중 간 첨단 기술 격차가 뚜렷하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딥시크 등의 중국 AI 기업들은 중국산 칩과 저사양 엔비디아 칩으로 LLM 훈련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사안을 잘 아는 미 정부 조사관과 중국 내 암시장 관계자 등 10여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으나, 11만개 이상의 칩을 중앙집중식으로 조달, 관리할 만큼의 밀수망이 존재할 수 있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중국으로 첨단 칩 물량이 흘러 들어가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는 엔비디아 측은 "데이터센터는 거대하고 복잡한 시스템이어서 밀수가 어렵다"면서 "수출 제재는 단순히 해당 모델 제품에 대한 수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기술 지원이나 수리도 제공하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챗GPT 열풍이 불기 이전인 2022년 10월부터 첨단 AI 칩 수출을 엄격히 제한해왔고, 최근까지 잇단 추가 제재를 통해 중국의 반도체, AI, 로봇 등의 첨단산업 성장을 경계하고 있다.
한편, 엔비디아는 오는 9월 중국 시장 전용 AI 칩을 출시할 계획이며, 이를 앞두고 다음 주 중에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베이징을 방문해 리창 총리와의 면담을 추진할 것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중국 전용 칩은 블랙웰 RTX 프로 6000 프로세서의 변형 버전으로, 최첨단 기술을 제거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규제를 위반하지 않도록 설계된 것으로 알려졌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권숙희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