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폭염이 연일 계속되면서 전국에서 온열질환자 수가 속출하며 2011년 집계 이후 가장 빠르게 늘고 있다.
1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가동한 이래 지난 8일까지 전국 응급실에 방문한 누적 온열질환자는 총 1228명이다. 이 중 사망자는 8명이다.
2011년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운영 이래 가장 이른 시기에 1000명에 도달한 것으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할 때 환자 수는 약 2.5배, 사망자는 2.7배로 늘었다.
온열질환자는 지난달 28일 이후 전국 평균 최고기온이 31도 이상을 유지하면서 빠르게 늘어나는 양상이다. 지난 8일 하루에만 238명이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았다. 일일 온열질환자가 200명을 넘은 것은 2018년 8월 3일 이후 약 7년 만이다.
올해 온열질환자 발생 장소는 대부분 실외(81.1%)였다. 특히 작업장(28.7%), 논밭(14.4%), 길가(13.9%) 등에서 야외활동을 하는 중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61.1%를 차지했다. 65세 이상 비율은 33.6%였다.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질환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이다.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 증상을 보이며 방치하면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선 물, 그늘, 휴식 세 가지가 중요하다.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하고, 시원한 그늘에서 더위를 피하며, 더운 시간대에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또 외부활동 시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가벼운 옷을 입으며, 자주 샤워를 하는 것도 폭염을 대비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