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에 서울 아파트 시장의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 집값이 가파르게 올랐던 강남·송파·서초·용산 등 주요 지역 상승 폭은 ‘반 토막’이 됐다.
1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첫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주 0.40%에서 0.29%로 전주 대비 0.19%포인트 내려앉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 1일부터 7일까지의 변동률로, 지난달 28일부터 시행된 6·27 가계부채 대책의 영향이 본격 반영된 첫 통계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이 6억원 이하로 제한되고,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로 갭 투자가 막히며 집값 상승에 제동이 걸렸다.
특히 강남(0.73→0.34%), 송파(0.75→0.38%), 서초(0.65→0.48%), 용산(0.58→0.37%) 등 주요 지역의 상승률이 눈에 띄게 줄었다. 토지거래허가제 ‘풍선효과’로 급등했던 성동(0.89→0.70%), 마포(0.85→0.60%)도 상승 폭이 둔화했다. 목동·여의도 재건축 아파트 거래로 값이 눈에 띄게 올랐던 양천(0.60%→0.55%)·영등포(0.66%→0.45%)도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규제 효과는 수도권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 전주 1% 안팎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시장이 과열됐던 성남 분당(1.17→0.46%), 과천(0.98→0.47%) 역시 상승 폭이 절반 이하로 내렸다.
다만 서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08% 오르며 한 주 전(0.07%)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부동산원은 “일부 외곽 지역과 구축 아파트에서 전셋값이 하향 조정됐지만, 정주 여건이 양호한 역세권·대단지를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이어지며 서울 전체 상승이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대출 규제가 집값은 잡겠지만, 적응기가 끝나면 실수요자 중 매입을 포기한 사람들이 임대 시장으로 대거 이동하며 하반기 전·월세 가격이 불안해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