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프랑스, 유럽 차세대 전투기 개발 기싸움
프랑스 다쏘, 지분 80% 요구…독일 "합의 지켜라"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유럽이 재무장에 나선 가운데 독일과 프랑스가 10년 가까이 구상 중인 차세대 전투기 개발사업을 두고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독일 경제지 한델스블라트 등에 따르면 프랑스 방산업체 다쏘는 독일 측에 최근 차세대 전투기 프로젝트 일감의 80%를 달라고 요구했다.
독일·프랑스·스페인은 유로파이터와 라팔 등 각국 주력 전투기를 대체할 새 기종 개발을 추진 중이다. 전투기에 미래형 순항미사일과 집단 비행이 가능한 드론 개발까지 합친 프로젝트를 미래전투공중체계(FCAS)라고 부른다.
이 사업은 2017년 7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당시 독일 총리가 합의했고 2019년 6월에는 스페인도 합류했다. 세 나라 정부가 지분을 갖고 있는 에어버스와 다쏘(프랑스), MTU(독일), 인드라 시스테마스(스페인) 등 방산업체들이 참여하게 돼 있다.
1천억유로(161조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해 2040년까지 새 전투기를 도입한다는 게 당초 계획이었다. 그러나 독일과 프랑스 정부가 서로 주도권을 잡겠다며 신경전을 벌이는 바람에 8년째 별다른 진척이 없는 상태다. 2022년에는 이 사업을 둘러싼 의견 차이로 마크롱 대통령이 양국 합동 각료회의를 취소하기도 했다.
세 나라는 당초 사업을 3분의 1씩 나누기로 했었다. 그런데 프랑스가 돌연 지분 대부분을 요구하자 독일 측이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는 전날 베를린을 방문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공동 기자회견에서 "컨소시엄 구성과 관련한 이견이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며 "우리는 프랑스, 스페인과 합의한 내용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독일항공우주산업협회(BDLI)는 "특정 기업의 일방적이고 비협조적인 주장으로 본래 목표를 상실했다"고 비판했다. 독일의회 국방위원회 소속 크리스토프 슈미트 의원은 독일 자금으로 프랑스 사업을 돕는 꼴이라며 "프랑스가 80% 지분 요구를 철회하지 않는다면 프로젝트 관뚜껑에 못을 박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계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