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서 참수 패러디 영상으로 관광객 유치 홍보 '논란'
아프간 관광 홍보 SNS 계정 통해 확산…탈레반 정권, 관광객 유치에 적극적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아프가니스탄을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탈레반 정권이 최근 관광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가운데 탈레반과 연계된 아프간 인플루언서들이 참수 처형 장면을 패러디한 관광 홍보 영상을 제작·유포해 논란이 되고 있다고 EFE 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화제가 된 영상에서 탈레반 전사처럼 차려입은 아프간 남성이 무릎을 꿇은 채 검은 비닐봉지를 뒤집어쓴 남성들 뒤에 서서 "미국에 전할 메시지가 있다"고 말한다.
이는 과거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서 무장세력들이 행한 처형 장면을 연상시킨다.
그러나 탈레반 전사 복장을 한 남성이 무릎 꿇은 남성의 비닐봉지를 벗기자 인질 역할을 했던 남성은 웃으며 "아프가니스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라고 말한다. 이어 아프간의 주요 관광지들을 소개하는 영상들이 등장한다.
이 영상은 엑스(X·옛 트위터) 등에서 '아프가니스탄 관광(#afghanistan tourism)'이란 검색어를 입력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영상이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널리 공유되고 있다. 특히 탈레반 정권을 옹호하거나 아프간 관광을 홍보하는 계정을 통해 퍼지고 있다.
이런 영상이 화제가 될 만큼 최근 들어 아프간을 찾는 관광객도 많아지고 있다.
탈레반에 따르면 2022년 이후 약 1만5천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아프간을 찾았다.
아프간의 거친 자연 풍경과 복잡한 전쟁 역사를 경험하며 모험을 즐기려는 서구 여행객과 낯선 여행을 알리려는 인플루언서들이 주요 관광객이다.
탈레반 정권도 외화 유치와 '정상 국가'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관광객 유치에 적극적이다.
탈레반은 공식 홈페이지와 SNS는 물론 해외 3천여곳의 관광 대행사, 블로거, 유튜버 등을 통해 아프가니스탄 관광을 홍보하고 있다. 탈레반은 아프간이 서방에 비친 이미지와 달리 전혀 위험하지 않다고 홍보한다.
하지만 EFE는 아프간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은 여전히 실질적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해 아프간 수도 카불 인근 밤얀 지역에서 무장 공격으로 스페인 관광객 4명과 아프간인 1명이 사망했다.
이 사건에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단체 이슬람국가(IS)의 아프가니스탄 지부 격인 IS-호라산(ISIS-K)이 배후를 자처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의래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