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러브버그 가고 다른 벌레 온다…환경부-지자체 회의 결과 보니

중앙일보

2025.07.10 23: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4일 환경부 및 소속기관 직원들이 인천 계양구 소재 계양산을 중심으로 활동중인 러브버그 성체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기와 포충망을 활용해 방제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환경부
최근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한 국민 고충이 커지자 정부가 곤충 대발생 대응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11일 오전 국립생물자원관 등 관계 기관과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지자체, 학계 전문가와 회의를 열고 향후 대응 방식을 논의했다.

앞으로 지자체와 정부 기관의 곤충 대발생 관련 정보 공유를 강화하기로 했다. 러브버그는 잠잠해졌지만, 당장 올여름과 가을에 동양하루살이 등 곤충이 대발생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자체는 민원 접수 내용과 대응 현황을, 국립생물자원관은 대발생 가능성이 있는 곤충에 대한 감시 현황과 방제 기술을, 국립생태원과 국립공원공단은 외래종 유입 현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곤충 대발생 시 공조하기로 했다.

김경석 환경부 자연생태과 과장은 “러브버그는 아직 인체나 작물에 해를 끼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국민 고충으로 민원이 느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기 때문에 지자체가 생태계에 영향이 적은 방법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고 전했다.

환경부는 곤충 대발생 관련 비상 대응 대책반을 지속 운영할 계획이다.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R&D)도 진행할 계획이다.
금한승 신임 환경부 차관이 5일 인천 계양산에서 빛을 활용한 포충기를 살펴보며 러브버그 방제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환경부



화학 방역 주장에…“살충제는 어쩔 수 없을 때 쓰는 것”


다만 정부는 대발생 시 화학 방역을 하는 방법은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 러브버그 첫 대발생이 화학 방역의 부작용일 가능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러브버그는 2022년 서울 은평구 봉산에서 처음 대발생했는데, 이는 은평구청이 한해 전 봉산에 실시한 대벌레 방역의 부작용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김경석 과장은 “현재 쓸 수 있는 살충제가 러브버그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도 입증되지 않았고 생태계 먹이사슬에 어떤 영향을 줄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특히 산에는 도입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2020년 7월 서울 은평구 봉산에 대벌레가 급증해, 대벌레가 산책로에도 떼지어 모여 있다. 중앙포토

법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감염병법 등은 모기나 진드기처럼 사람, 농작물, 산림에 피해를 주는 곤충에 대해서만 화학 방역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일명 지자체가 감염병을 일으키는 곤충에 적용하는 방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러브버그 방제법(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김 과장은 “화학 방역은 근본적인 대책이라서 하는 게 아니라, 피해를 막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조해민 서울환경연합 활동가는 “현재 친환경 방제법이라 일컬어지는 포충기나 끈끈이도 작은 새와 다른 벌레 등을 함께 잡는 부작용이 있다”며 “‘회피’가 최선의 대응이라는 러브버그 연구가 지적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정은혜([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